현대제철, 비상경영 체제 돌입… “생존 차원 특단 조치”

  • 임호
  • |
  • 입력 2025-03-16  |  수정 2025-03-16 20:21  |  발행일 2025-03-17 제14면
현대제철, 비상경영 체제 돌입… “생존 차원 특단 조치”

현대제철이 지난 14일 생존 차원의 특단 조치로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현대제철 포항공장 전경. <현대제철 제공>

현대제철이 국내외 악재 속에서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강도 높은 자구책 없이는 경영 개선이 어렵다고 판단에서다.

16일 포항 경제계 등에 따르면 현대제철이 전(全) 임원 급여 20% 삭감과 비용 절감을 포함한 극약처방을 내 놓았다. 현대제철은 해외 출장 최소화 등 다양한 비용 절감 방안을 추진한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검토하는 등 원가 절감을 위한 구조조정도 고려하고 있다. 이미 포항 2공장 가동을 축소하고 14일까지 포항공장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았다. 또 당진제철소 및 인천공장으로의 전환 배치도 병행하고 있다.

현대제철이 위기에 빠진 이유는 국내외 시장 환경 악화 때문이다. 국내 건설 경기 부진과 함께 중국·일본산 저가 철강재가 시장을 잠식하면서 회사의 실적이 큰 타격을 입었다. 이에 현대제철은 후판과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추진하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여기에 더해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결정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정부는 지난 12일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국내 철강업계의 수출 경쟁력이 급격히 저하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제철의 노사 관계도 악화일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650억원의 당기순손실에도 불구하고 1인당 평균 2천650만원(450%+1천만원)의 성과급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추가 성과급을 요구하며 파업을 지속해 왔다. 지난 13일 재개된 교섭도 결렬되면서, 노사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대제철의 경영 위기가 심화될 경우, 철강업계뿐 아니라 국내 산업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현대제철의 구조조정과 대내외 대응 방안이 향후 국내 철강 업계의 향방을 가를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기자 이미지

임호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