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가 산불 피해 대응 및 이재민 대책 마련을 위해 시의회 소집을 요구하고, 원-포인트로 1천430억 원 규모의 긴급 추경예산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먼저 경북 재난지원금 지급 발표에 맞춰 안동시 재난지원금 지급 예산을 편성했다.
경북 재난지원금은 전 시민을 대상으로 1인당 30만원을 지급하는데, 안동시 재난지원금은 실제로 주택 피해를 본 세대를 대상으로 300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에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도비 457억원, 시비 43억원을 반영했다.
주택 전소로 갈 곳을 잃은 이재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용 조립식 주택 설치 예산 323억원도 담았다. 특히 자체 재난지원금과 임시 주거시설 확보 예산을 합하면 360억 원이 넘는다.
산불 피해 주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비·생계비·구호비 등 330억원 규모의 생활안정지원금 지급도 서두를 방침이다.
산불 피해 농가에 대한 지원도 꼼꼼히 챙겼다. 농기계가 불타버린 농민들의 적기 영농을 위해 관리기, 분무기, 트랙터, SS기 등 임대 농기계 구입비 55억 원을 투입한다.
안동시는 산불 피해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즉시 투입해야 하는 피해주택 철거와 잔해물·폐기물 처리 등을 위한 예산 113억원도 반영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가용 재원과 인력을 총동원해 산불 사태의 조기 정상화에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경북 재난지원금은 전 시민을 대상으로 1인당 30만원을 지급하는데, 안동시 재난지원금은 실제로 주택 피해를 본 세대를 대상으로 300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에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도비 457억원, 시비 43억원을 반영했다.
주택 전소로 갈 곳을 잃은 이재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용 조립식 주택 설치 예산 323억원도 담았다. 특히 자체 재난지원금과 임시 주거시설 확보 예산을 합하면 360억 원이 넘는다.
산불 피해 주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비·생계비·구호비 등 330억원 규모의 생활안정지원금 지급도 서두를 방침이다.
산불 피해 농가에 대한 지원도 꼼꼼히 챙겼다. 농기계가 불타버린 농민들의 적기 영농을 위해 관리기, 분무기, 트랙터, SS기 등 임대 농기계 구입비 55억 원을 투입한다.
안동시는 산불 피해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즉시 투입해야 하는 피해주택 철거와 잔해물·폐기물 처리 등을 위한 예산 113억원도 반영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가용 재원과 인력을 총동원해 산불 사태의 조기 정상화에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