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의회는 지난 4일 초유의 대형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조속한 복구와 도시 재생을 위해 중앙정부와 국회에 '대형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강력히 건의했다.
이번 산불로 영덕군은 21명의 인명피해와 1천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여전히 많은 주민이 이재민 대피시설에 머물고 있다. 특히 전국 최대의 송이 생산지를 자랑하던 송림이 전소되어 지역경제에도 큰 타격을 입었다.
영덕군은 지난달 27일 산불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으나 현행 법령만으로는 피해 복구에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는 특별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군의회는 주거비 지원의 현실화, 생계비 지원 확대, 농기계 및 어업시설물 지원, 소상공인 영업권 보호, 송이 소득 보전, 특별교부세 추가 배정 등 실질적 지원 방안을 포함한 법 제정을 촉구했다.
김성호 의장은 "산불 희생자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전한다"라며 "군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에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남두백기자 dbnam@yeongnam.com
이번 산불로 영덕군은 21명의 인명피해와 1천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여전히 많은 주민이 이재민 대피시설에 머물고 있다. 특히 전국 최대의 송이 생산지를 자랑하던 송림이 전소되어 지역경제에도 큰 타격을 입었다.
영덕군은 지난달 27일 산불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으나 현행 법령만으로는 피해 복구에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는 특별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군의회는 주거비 지원의 현실화, 생계비 지원 확대, 농기계 및 어업시설물 지원, 소상공인 영업권 보호, 송이 소득 보전, 특별교부세 추가 배정 등 실질적 지원 방안을 포함한 법 제정을 촉구했다.
김성호 의장은 "산불 희생자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전한다"라며 "군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에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남두백기자 dbnam@yeongnam.com

남두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