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후엔 ‘직업 운동선수’ 빼곤 모든 직업군 AI 대체 가능

  • 윤정혜
  • |
  • 입력 2025-04-13 16:10  |  수정 2025-04-14 08:57  |  발행일 2025-04-13
고용정보원 ‘인공지능에 의한 화이트칼라의 직무 대체 및 변화’ 보고서

직업 운동선수, 프로게이머, 어부 및 해녀 대체가능성 낮은 직업

일반행정사무원 간호조무사 등 3년 후 AI 직무대체율 높아
3년 후엔 ‘직업 운동선수’ 빼곤 모든 직업군 AI 대체 가능

직무대체율 증감 구간별 직업 목록

3년 후엔 ‘직업 운동선수’ 빼곤 모든 직업군 AI 대체 가능

직무대체율 증감 구간별 직업 목록

3년 후에는 '직업 운동선수'를 제외한 모든 직업에서 인공지능(AI)에 의한 직무대체율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 및 직업 현장에서 AI기술 활용성은 증가해 창의성을 요하는 직업까지 직무 상당 부분을 AI 대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같은 전망과 분석은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인공지능에 의한 화이트칼라의 직무 대체 및 변화' 보고서에서 제시됐다.

보고서는 한국직업정보에 있는 520개 직업을 대상으로 현재 시점(2024년)과 3년 후인 2027년의 AI에 의한 직무 대체율을 분석해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3년 후 AI에 의한 직무대체율은 0%인 직업 운동선수를 제외한 전 직업에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일반행정사무원(44.53%)과 간호조무사(44.03%), 낙농종사자(46.67%), 선박객실승무원(48.24%) 등은 직무대체율이 40%포인트(p) 이상 높아질 직군으로 꼽혔다. 이 구간의 직업에는 16개(3.1%)가 포함됐다.

반면, 직업운동선수를 비롯해 프로게이머(3.33%)와 어부나 해녀(9.57%)는 대체율이 가장 낮은 구간의 직업으로 분류됐다.

직무대체율이 구간별로 살펴보면 30%p 이상~40%p 미만 증가 구간 직업은 여행·호텔관리자(38.59%), 교도관(37.77%), 일반의사(35.75%), 초등학교 교장 및 교감(36.88%), 신문기자(35.17%), 영화시나리오작가(35.17%), 예술·디자인·방송관리자(31.72%), 영화배우 및 탤런트(32.91%) 등 187개(36.0%) 직업이 포함됐다.

방송작가나 영화배우처럼 '창의적 활동'에 의한 직업들도 생성형 AI 발전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체 직업의 50%가 포함된 20%p 이상~30%p 미만은 연극연출가(29.86%), 철도기관차·전동차 정비원(29.85%), 통역가(29.71%), 이비인후과의사(29.29%), 사회복지사(29.22), 치과의사(29.21), 공연·영화 및 음반기획자(21.31) 등 260개, 10%p 이상~20%p 미만은 육아도우미(베이비시터)(19.98%), 판사(19.93%) 등 54개(10.4%), 10%p 미만 3개(0.6%)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AI에 의한 직무 대체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직업들이 현재는 거의 없지만, 3년 후는 전체 직업 중 절반이 조금 안 되는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업군을 화이트칼라와 비(非)화이트칼라로 구분해 3년 후 직무대체율을 살펴보면 화이트칼라가 비화이트칼라보다 AI로 더 급격하고 강력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화이트칼라 직무가 데이터 정보의 기록·수집·관찰·분석·평가 등 인·지적 능력에 기반을 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AI의 특징이자 강점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시점에서 520개 직업의 AI 직무 대체율 평균값은 38.69%dl다. 이 중 대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최소값은 프로게이머로 0%, 대체 가능성이 가장 큰 최댓값은 71.65%의 패턴사로 조사됐다.

 

3년 후엔 ‘직업 운동선수’ 빼곤 모든 직업군 AI 대체 가능

직무대체율 증감 구간별 직업 분포


기자 이미지

윤정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