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시가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면서 혈세 낭비 논란(영남일보 4월21일자 11면 보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화룡1 공영주차장 부지 선정 과정과 토지 보상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영천시는 화룡동 등 9개소(5천510㎡)에 사업비(보상비,공사비) 36억5천여만원을 투입 주차장 171면을 조성했다.
특히 화룡1 공영주차장(1천224㎡) 의 경우 주차면수 39대 조성에 총사업비 16억4천여만원을 투입했는데 보상비만 14억4천여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3,3㎡(1평) 기준 보상액은 389만원 꼴이다.
이 부지는 근저당 설정,경매개시(추후 경매 취소) 등 지주가 변경된 토지로 주차 1면당 평균 4천1백여만원이 투입 된 곳이다.
2021년 1월 금융권 대출로 이 부지를 50%씩 매입(7억원 추정)한 공동 지주 A씨와 B씨는 개발행위 등은 전혀 하지 않고 2024년 3월 영천시가 추진하는 공영주차장 부지로 선정 14억4천여만원의 보상비를 받았다.
부지 선정 의혹에 따른 취재 과정에서 영천시 서부동은 2020년 하반기부터 서부동행정복지센터 인근 주차난 을 이유로 이 부지를 영천시에 사업 요구서를 보낸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공영주차장 조성 소문이 난 몇 개월 후 A씨와 B씨가 매입한 것이다.
한편 영천시는 도심 주차난 해소를 이유로 2019년부터 총사업비 240여억원을 투입 44개소에 총 1천159면의 공영주차장을 조성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는 "공무원. 선출직 등의 부지 선정에 따른 공공정보 누설 등 개입 의혹이 있는 것 같다"며 "철저한 진상 조사 혹은 수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영천시 청렴감사실 관계자는 "언론 보도후 감사를 했지만 토지 보상액은 감정평가사 두곳의 평균가로 월등하게 높게 책정 된 것은 아니다 "며 "자체 감사의 한계로 부지 선정 과정 의혹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유시용기자 ysy@yeongnam.com
지난해 영천시는 화룡동 등 9개소(5천510㎡)에 사업비(보상비,공사비) 36억5천여만원을 투입 주차장 171면을 조성했다.
특히 화룡1 공영주차장(1천224㎡) 의 경우 주차면수 39대 조성에 총사업비 16억4천여만원을 투입했는데 보상비만 14억4천여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3,3㎡(1평) 기준 보상액은 389만원 꼴이다.
이 부지는 근저당 설정,경매개시(추후 경매 취소) 등 지주가 변경된 토지로 주차 1면당 평균 4천1백여만원이 투입 된 곳이다.
2021년 1월 금융권 대출로 이 부지를 50%씩 매입(7억원 추정)한 공동 지주 A씨와 B씨는 개발행위 등은 전혀 하지 않고 2024년 3월 영천시가 추진하는 공영주차장 부지로 선정 14억4천여만원의 보상비를 받았다.
부지 선정 의혹에 따른 취재 과정에서 영천시 서부동은 2020년 하반기부터 서부동행정복지센터 인근 주차난 을 이유로 이 부지를 영천시에 사업 요구서를 보낸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공영주차장 조성 소문이 난 몇 개월 후 A씨와 B씨가 매입한 것이다.
한편 영천시는 도심 주차난 해소를 이유로 2019년부터 총사업비 240여억원을 투입 44개소에 총 1천159면의 공영주차장을 조성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는 "공무원. 선출직 등의 부지 선정에 따른 공공정보 누설 등 개입 의혹이 있는 것 같다"며 "철저한 진상 조사 혹은 수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영천시 청렴감사실 관계자는 "언론 보도후 감사를 했지만 토지 보상액은 감정평가사 두곳의 평균가로 월등하게 높게 책정 된 것은 아니다 "며 "자체 감사의 한계로 부지 선정 과정 의혹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유시용기자 ysy@yeongnam.com

유시용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