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이 대(對)중국 기술제재를 강화하는 가운데 한국이 인공지능(AI)을 적용한 드론, 로봇, 자율주행 등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7일 '미·중 경쟁에 따른 중국의 AI 혁신 전략과 우리 산업의 대응'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산업연은 중국이 AI 기술을 기존 산업에 접목해 자국 방식의 AI 제조생태계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GPU·반도체 장비 수출통제가 오히려 중국이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 1월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의 오픈AI의 챗GPT에 버금가는 오픈소스 생성형 AI모델을 출시해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의 등장은 중국이 더 이상 기술의 후발주자가 아닌 기술을 선도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줬다. 이를 계기로 AI 분야로도 미중 패권 경쟁이 확대됐다.
보고서는 중국이 △로봇 △자율주행 △헬스케어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식 AI제조 생태계를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수년 내 중국발 AI 기술혁신이 3대 분야에 구현될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이로 인해 한국의 수출 주력인 기계, 모빌리티, 바이오 산업에도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투자와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한국 정부와 중국 정부의 투자 규모와 속도 차이가 극명하다고 분석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 2월 2027년까지 AI 스타트업 투자를 위해 약 3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보다 한 달 앞선 중국은행(뱅크 오브 차이나)은 향후 5년간 AI 산업계에 1조위안(한화 약 200조원)의 특별 종합금융 지원을 제공한다고 밝힌 것을 근거로 들었다.
한국이 AI 분야에서 미국과의 공동 기술 등 기술협력보다 미국이 보유하지 못한 제조업 기반, 인재 등을 활용해 미국 시장 진출 및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미국이 중국의 드론, 로봇, 자율주행 등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이를 기회로 삼아 해당 분야에서 우위를 점해야한다는 것이다.
조은교 산업연구원 중국연구팀장은 “한국이 이점을 보유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반도체와 로봇, 바이오 제조, 의료 분야에 AI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중국이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 대한 선제적 수출·투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