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수지 물가에 설치된 구조함과 '물조심' 표지판. 구명조끼와 튜브가 비치돼 있어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영남일보 AI 제작>

대구지역 안전시설물 설치 현황.<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제공>
지난 1월 대구 달성군 저수지에서 발생한 익사 사고에도, 대구 일부 지자체의 안전관리 실태는 여전히 제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지적됐던 구조장비 미설치 문제는 4개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개선되지 않아, 관리 부재와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사)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안실련)이 대구시 관내 저수지 522개소를 전수 조사한 결과, 구명조끼나 튜브가 비치된 구조함 설치율은 30.8%(161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군위군은 352개소 전 지역이 구조장비 미설치 상태로 확인, 사실상 인명안전 사각지대에 방치된 것으로 파악 됐다.
안내표지판은 전체 522개소 중 515개소에 설치돼 설치율은 98.6%에 이르지만, 동구 7개소는 여전히 표지판조차 없는 상태다. 더 큰 문제는 저수지 추락 사고를 막기 위한 휀스와 CCTV 설치율이 각각 1.5%, 1.3%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실시간 감시와 접근 제한이 전무한 상태로, 사고 예방 기반이 취약하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저수지의 안전등급은 A등급(우수) 44개소, B등급(양호) 316개소, C등급(보통) 148개소로 조사됐다. 그러나 붕괴 위험이 큰 D등급 10개소, E등급 4개소 등 14개소는 모두 군위군에 집중돼, 집중호우 시 범람 및 붕괴 우려가 크다. 이들 저수지는 조속한 보수·보강 등 선제적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내진설계 역시 취약하다. 전체 저수지 중 내진설계가 적용된 곳은 군위군 8개소뿐으로, 전체 대비 1.5%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구안실련은 "사고 이후 최소한의 안전조치라도 이뤄졌다면 지금과 같은 미비한 상태는 없었을 것"이라며 "전 저수지를 대상으로 한 구조장비 설치와 정밀 안전진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조윤화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