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 최다 보유 경북에 물음표 던진 이재명 에너지 정책

  • 논설실
  • |
  • 입력 2025-05-26  |  수정 2025-05-26 07:10  |  발행일 2025-05-26 제23면
지난 23일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2차 TV토론회에서 원자력 발전이 주요 화두가 됐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원전의 경제성을 강조한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피력하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장했다. 이재명 후보는 "우리 원전이 사고가 안 났지만, 50년 또는 100년에 한 번 사고 나면 엄청난 피해가 발생한다"며 "일본 후쿠시마, 러시아 체르노빌 폭발 사고는 조심 안 했겠느냐. 사고가 많이 나기 때문에 비중을 올리는 건 맞지 않다"고 했다. 이 후보는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 시절 "원전은 미친 짓" "탈(脫)원전으로 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지만, 최근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과는 다소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그렇다고 적극적인 친(親)원전도 아니다. 이 후보의 10대 공약에도 '원전'은 빠졌다.

국내 최대 원전시설을 보유한 경북은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후보의 원전 정책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과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본 바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윤석열 정부 들어 원전 생태계 복원 작업이 시작됐지만 탈원전의 후유증은 여전히 남아 있다. 원전 생태계 복원을 통해 침체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바라는 지역민의 염원이 간절하다.

이재명 후보가 강조한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24시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저 전원인 원전이 필수다. 신재생에너지를 늘리면서 신규 원전을 계획대로 건설해 원전 비중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한때 원전을 금기시하던 미국, 유럽 등이 탈원전 정책에서 급속히 선회하는 이유를 잘 살펴봐야 할 것이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