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각)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첫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미래 지향적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새 정부 한일관계에 대해 "과거의 문제는 과거 문제대로 논하지만, 과거 문제가 현재와 미래의 협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잘 관리한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입장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캐나다에서 이시바 일본총리와 30분 동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14일 만에 '가깝고도 먼 이웃'인 일본 정상과 처음으로 마주 앉은 것이다. 양 정상은 회담에서 전략적 환경 속에서 한일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보다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 관계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이는 이 대통령이 취임 후 강조했던 외교 원칙인 '국익 중심 실용 외교'도 반영됐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자리를 바꾸며 밝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그동안 대일관계에 대해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원칙적 대응을 하고, 경제·안보 협력을 강화한다는 기조를 강조해왔다. 다만 앞으로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자 대상 '제삼자 변제' 등의 과거사 문제는 잠복한 뇌관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양 정상은 비공개 대화에서 미래 지향적으로 관계를 발전시켜 가되,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잘 관리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를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집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규정하고, "국제통상환경이나 국제 관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서 가까운 관계, 또 보완적 관계에 있는 한국과 일본이 많은 부분에서 협력하면 서로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정상은 '셔틀 외교' 재개 의지도 드러내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지난 9일 첫 통화에서 성숙한 한일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공감한 지 8일 만의 이날 만남에서 셔틀 외교 복원을 위한 당국 간 논의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이외에도 양 정상이 한미일 공조를 거듭 확인 한 점도 눈에 띈다. 첫 정상 통화에서 한미일 협력의 틀을 강조한 데 이어 이날에도 한미일 공조의 지속 유지·발전을 약속한 것이다. 이에 전임 정부에서 시행됐던 한미일 간 별도 정상회동 등도 이뤄질 지 관심을 모은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