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적으로 혼인 증가와 30대 여성 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4월 출생아 수가 3년 만에 2만명대를 회복한 가운데 대구경북 출생아 수도 상승세를 보였다. <게티이미지뱅크>
전국적으로 혼인 증가와 30대 여성 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4월 출생아 수가 3년 만에 2만명대를 회복한 가운데 대구경북 출생아 수도 상승세를 보였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전국 출생아 수는 2만717명으로 1년 전보다 1천658명(8.7%) 증가했다. 대구 4월 출생아 수는 889명으로, 1년 전(804명)보다 10.6% 늘었고, 경북 역시 871명으로, 1년 전(840명)보다 3.7% 증가했다.
전국 시·도별 출생아 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제주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증가하면서 전국적으로 2022년 4월(2만1천164명) 이후 3년 만에 다시 2만명대로 올라섰다. 증가율도 1991년(8.7%) 이후 4월 기준으로 34년 만에 가장 높았다.
올들어 전국 1∼4월 누계 출생아 수 또한 8만5천739명으로, 지난해보다 7.7% 증가했다. 대구는 3천73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천355명) 보다 11.3%, 경북 누계 출생아 수는 3천518명→3천531명으로 0.4% 소폭 올랐다.
출생아 수는 작년 7월 이후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늘고 있다. 4월 합계출산율도 0.79로, 지난해보다 0.06명 늘었다.
대구는 4월 사망자 수도 증가해 1천423명으로, 지난해(1천319명)보다 104명(7.9%) 증가했다. 경북은 2천115명으로 지난해(2천10명)보다 5.2% 늘었다.
대구경북은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밑돌며 4월 인구는 전체적으로 자연 감소했다. 4월 대구경북 혼인건수도 줄었다. 대구는 741건으로, 1년 전(813건)보다 (8.9%) 줄었다. 경북도 721건으로, 지난해(749건) 보다 소폭 감소했다. 1∼4월 누적 혼인 건수도 대구 3천121명, 경북 3천112명으로 지난해(대구 3천223명·경북 3천151명)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이혼은 두 지역이 엇갈렸다. 대구는 30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5.4% 감소한 반면, 경북은 428건으로 17.6% 증가했다. 1~4월 누계 역시 대구는 -6.8%, 경북은 2.3%를 기록했다.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