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상정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정국이 이달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이미 김민석 총리 인준을 두고 대립한 상황에서 여당은 국정 운영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빠른 통과를, 야당은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어 또 한번 강한 충돌이 예상된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확정된 인사청문회 날짜는 △14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15일 김성환 환경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16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재까지 19개 부처 중 17개 장관 후보자 지명을 마쳤고 유임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제외한 다른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이달 줄줄이 열릴 전망이다.
이처럼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청문 정국 '2라운드'가 시작되면서 여야는 한치의 물러남 없이 대치할 전망이다. 앞서 김 총리 인준 당시 여야는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김 총리의 재산 형성 의혹과 자료 제출 등을 문제 삼으며 청문회 보이콧에 나섰지만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의혹이 충분히 소명됐다며 국회 본회의에서 단독으로 인준 표결을 강행한 바 있다.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의 원활한 국정 운영에 빠른 내각 구성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어 이번 청문 정국에서도 신속한 통과를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당 안팎에서는 초대 내각 구성에 다수 포진된 현역 의원들의 경우 재산이나 경력 등 의혹은 이미 총선에서 검증된 만큼 청문회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송곳 검증'을 예고하며 이미 각 후보자에 대한 의혹 제기에 나선 상태다. 야당은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논문 중복 게재와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며 '연구 윤리 파괴자'라고 규정하고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이해충돌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외에도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겹치기 근무' 의혹과 한정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편법 증여 의혹,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의 부실 복무 의혹 등도 집중적으로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청문회를 담당하는 상임위원회 12개 모두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한 데다 이 중 7개의 위원장 모두 여당 의원이 차지하고 있어 국민의힘이 민주당의 엄호를 뚫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김 총리 청문회와 같이 '확실한 한 방'이 없다면 여당의 엄호 속에 야당이 주도권을 갖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