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복귀를 선언한 데 이어 선배인 전공의들도 복귀 논의에 속도를 내면서 1년 5개월 간의 의정 갈등에 출구가 보이고 있다. 지난 12일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 국회 상임위,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입장문을 내고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가겠다"고 했다. 그동안 감내해 온 국민의 고통을 생각하면 늦은 감이 있지만, 의대생들의 학업 복귀 결정을 환영한다. 지난해 의대 본과 4학년 대다수가 국가시험 응시를 거부해 의사 배출이 중단됐는데, 이번 복귀로 인턴, 레지던트로 이어지는 의사 수련체계도 복원할 수 있게 됐다.
이젠 의정 갈등 해소의 또다른 열쇠인 전공의들의 복귀가 남았다. 의료 정상화를 위해선 선행돼야 할 사안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은 14일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과 만나 의견을 전달했다. 대전협은 이달 초 설문을 통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 △입대 전공의에 대한 수련 연속성 보장 등을 복귀 선결 조건으로 제시했다. 19일엔 임시 대의원총회를 열어 다시 한번 전공의들의 의견을 모은다. 앞서 대전협은 12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만나 국민 건강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한 만큼 복귀 쪽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높다.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말 공고될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통해 9월에 복귀할 수 있다.
의대생에 이어 전공의도 제자리로 돌아가 장기화한 의정 갈등이 하루빨리 끝나길 바란다. 하지만 지방 의료인력 확충, 필수 의료 강화 등 정부가 추진한 의료개혁의 대원칙이 흔들려선 안 된다. 정부는 의료계와 머리를 맞대고 왜곡된 의료 체계를 바로잡을 해법 찾기에 속도를 내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