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하고 있는 향산집 검열본.

향산집 책자에 일제가 붉은색 삭제 도장을 찍거나 밑줄을 그은 흔적이 남아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일제 강점기 당시 일제의 출판물 검열 흔적이 담긴 '향산집'은 조선 독립 운동 의지를 저지하고 민족의식을 말살하고자 하는 일본의 야욕을 엿볼 수 있다. 검열 과정에서 자신들의 생각과 다른 문구 또는 단어를 빨간 글씨로 삭제하거나 밑줄을 그은 흔적이 책자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일본은 1909년 조선의 출판법을 제정해 한반도에서 간행되는 모든 출판물을 검열했다. 퇴계 이황의 후손인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문집 '향산집' 검열본은 1931년 조선총독부에 제출해 출판검열을 받고 돌려받은 책이다. 전체 14책 중 본집 2책과 별집 1책을 포함한 3책이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돼 있다.
책자에는 조선총독부가 검열하면서 문제가 되는 문구나 단어가 있으면 그 행 맨 위에 한자로 '삭제(削除)' 두 글자가 표기된 붉은색 도장을 찍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민감한 문구나 단어에 붉은색 필기구로 둥근 원이나 줄을 그려 표시하기도 했다. '금상(今上)', '성상(聖上)'과 같이 조선의 임금을 나타내는 단어나 임진왜란과 관련된 민감한 내용을 위주로 삭제됐다.
향산집은 검열을 통해 조선인들의 글과 정신을 통제하려 했던 일본의 폭압적 통치를 보여준다. 조선총독부의 검열로 제대로 간행되지 않다가 해방 이후 1948년이 돼서야 비로소 간행됐다.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향산집은 일본의 폭력적인 출판검열에 저항한 독립운동가들의 분투를 확인할 수 있는 책자"라고 말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