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서 4차산업혁명시대 직업교육의 新비전 모색”

  • 박종문
  • |
  • 입력 2019-05-17 08:15  |  수정 2019-05-17 08:15  |  발행일 2019-05-17 제21면
■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
오늘 수성대서 ‘2030 교육포럼’
국내 고등직업교육 선도도시로
지역 시민들과 논의하기에 적합
미래 교육체제 수립 위해 실시
“대구서 4차산업혁명시대 직업교육의 新비전 모색”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김진경 의장이 ‘지역과 함께하는 2030교육포럼’을 대구에서 개최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국가교육회의 제공>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는 17일 대구 수성대에서 ‘산업과 직업교육의 동반 혁신을 위하여’를 주제로 ‘지역과 함께하는 2030교육포럼’ 시리즈의 제2차 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을 앞두고 국가교육회의 김진경 의장을 서면 인터뷰했다.

김진경 의장은 “대구는 전통적인 교육도시에 걸맞게 직업교육에 대한 관심이 남다른 것 같다. 특히 대구지역 전문대학들은 우리나라 고등직업교육을 선도하며 변화를 추구해온 만큼 우리 직업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찾기 위해 대구에서 포럼을 준비하게 됐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서울대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한 교사 출신인 김 의장은 전교조 정책실장과 대통령 비서실 교육문화비서관, 국가교육회의 기획단장을 거친 교육전문가로 작년 말부터 국가교육회의 의장을 맡고 있다.


▶국가교육회의가 이번 ‘지역과 함께하는 2030교육포럼’을 통해 모색하고자 하는 바는.

“국가교육회의는 지역-산업-삶-교육의 연계를 기반으로 한 2030 미래교육체제 수립을 위해 올해 5월부터 경남을 시작으로 ‘지역과 함께하는 2030교육포럼’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직업교육과 산업현장, 직업계고와 전문대학 간 연계를 새로운 차원에서 고민하고, 관련된 교육정책의 혁신을 위해 현장과 지방의 목소리를 경청하면서 함께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급변하는 미래에 대비한 교육모델은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 가야 하며, 새로운 교육비전과 미래 교육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이러한 논의의 장을 호남, 충청, 수도권 등에서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다.”

▶이번에 대구에서 지역교육포럼 행사를 하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나.

“대구는 지역 산업의 핵심적인 집적지이며 대구 내에 11개 대학, 가까운 경산에 10개 대학이 모여 있는 대단위 고등교육 지역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직업교육과 산업의 관계를 어떻게 모색해 나가야 할지 가장 고민이 많은 지역 중의 하나일 것이므로 현재 한국의 산업과 직업교육의 문제를 지역 시민과 함께 논의하는 데 적합한 지역이라고 생각했다.”

▶교육개혁은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실질적인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국가교육회의가 추구하는 교육개혁의 방향은 무엇인가.

“지금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할 만큼 곳곳에서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여기에다 인구절벽 등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환경이 다가오고 있지만 우리 교육은 이 같은 혁명적인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 초중반까지의 산업사회교육체제는 빠른 경제성장에 기여하였지만 학교와 학생을 서열화하였으며, 공동체적 관계의 중요성과 교수-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 측면을 등한시하게 하였다. 1980년 후반부터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산업사회교육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1995년 5·31 교육개혁방안이 발표되어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과 자질을 살리고, 통합적 사고력과 창조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나, 시스템은 여전히 산업 사회의 중앙집권적 교육체제 하에 멈춰 있어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미래교육체제의 최우선 과제는 5·31 교육체제가 안고 있던 교육시스템과 교육정책적 지향의 불일치 문제를 넘어서는 것이다. 탈산업사회형 교육시스템으로의 개혁과 함께 더 나아가 지능정보사회형 교육시스템으로 바꾸어나가는 시스템 개혁이 필요하다.”

▶국가교육개혁의 주체로서 국가교육위원회의 출범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데.

“교육개혁에 앞서가고 있는 프랑스와 일본 등 많은 선진국에서는 교육개혁의 중심에 국민의 참여와 사회적 합의를 이끄는 기구들이 존재한다. 또 핀란드가 교육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국가교육청 이사회’가 주도하여 30여 년 동안 혼란 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교육개혁 덕분이다. 정권에 따라 바뀌는 교육정책으로 낮아진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국민의 참여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장기적 시각에서 미래 사회의 새로운 교육체제를 수립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국가교육위원회의 설립이 필요하다. 숱한 혼란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교육개혁의 답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박종문기자 kpjm@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문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