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신임 당 대표가 2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5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뒤 두 팔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신임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28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5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으로 선출된 뒤 손을 맞잡아 들고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경태, 박찬대, 고민정 최고위원, 이재명 대표, 정청래, 서영교 최고위원.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의원이 28일 역대 최고 득표율(77.77%)로 차기 당 대표로 선출됐다. 이 후보의 압도적 승리와 동시에 최고위원에도 친명(親 이재명)계 후보가 모두 선출되며 민주당의 주류는 '친명계'로 교체됐다는 평가다.
다만 이 신임 대표는 "민주당이 극소수의 당원들에 의해 휘둘리는 정당이 아니다"라며 이 같은 '이재명 팬덤' 정치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 이재명 영수회담 요청
이 대표는 이날 전당대회에서 당선 직후 당 대표 수락 연설을 통해 총선과 대선 승리를 통한 재집권을 목표로 내걸고 개혁과 단합을 강조했다. 그는 "재집권을 위한 토대구축이라는, 이 막중한 임무에 실패하면 저 이재명의 시대적 소명도 끝난다는 사즉생의 각오로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살을 깎고 뼈를 갈아 넣는 심정으로, 완전히 새로운 민주당을 만드는데 저 자신을 온전히 던질 것"이라며 "오로지 혁신의 결과와 민생 개혁의 성과로 평가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 대표는 "국민의 삶이 반보라도 전진할 수 있다면 제가 먼저 정부 여당에 협력할 것"이라며 "영수회담을 요청해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만들 것"이라고 정부 여당에 협치를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지금 경제 위기, 또 민생 위기가 참으로 심각하다. 지금 가장 급선무는 민생과 경제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것"이라며 "민생과 경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서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정부·여당, 특히 윤석열 대통령과 저희가 협력할 수 있는 최대치로 협력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와 제가 공약했던 것들이 비슷하거나, 같은 것이 매우 많다"며 "이 중에 민생 경제 위기 해결에 도움이 될 정책들을 신속하게 공통으로 추진하는 것을 요청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당대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영수회담에 대해서는 "현재 경제 위기, 민생위기가 심각한 만큼 지난 대선에서 냈던 비슷한 공약을 신속하게 추진해줄 것을 요청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다면 누구와도 만나서 협력할 생각이 있다"며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정부 여당, 특히 윤석열 대통령께 저희가 최대한 협력할 수 있는 최대치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구체적 민생 정책에 대해서는 불법 사채 대책이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한 서민 지원 확대 등을 언급했다.
최고위원 5명 중 4명이 친이재명계 인사들로 선출되면서 친명 지도부라는 비판이 나온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그 분들 중에 상당 다수가 이재명계라고 불리고 있었는지 잘 모르겠다. 사실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80% 육박하는 당원과 민주당을 지지하시는 국민이 저에 대한 기대가 높기에 그 기대에 맞춰서 최고위원들이 선거 운동한 게 아닐까 생각한다"며 "앞으로 통합에 도움되는 방향으로 (당직) 인선을 중지를 모아서 해나가겠다"고 답했다.
◆문재인 전철 밟을까 TK 요구사항도 관심
정치권은 이 대표의 행보가 차기 대권으로 가는 이른바 '문재인 전철'을 밟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대표가 공천권을 행사해 총선에서 승리하고, 대선에 '재도전'하는 것이 문 전 대통령의 발자취를 따라간다는 설명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18대 대선(2012년)에서 패배한 후 2015년 당 대표에 선출됐고, 이후 총선을 지원한 뒤 2017년 19대 대선에 재도전해 당선된 바 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지명직 최고위원 안배'나 대구 경북(TK) 지역위원장이 요구한 '대구·경북 발전을 위한 공동 요구안'을 어떻게 실현시킬 지도 관심사다. 대구경북의 민주당 지역위원장 25명은 모든 후보에게 민주당 험지인 TK의 정치지형 변화를 위한 요구안을 전달했고 이들 모두 찬성 입장을 회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요구한 내용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석패율제 도입 △지구당 부활 △TK특별위원회 설치 △취약지역 비례 배분 증석 등이다.
다만 지명직 최고위원의 경우 정치권에선 이번 경선에서 당의 텃밭인 호남에서 낮은 투표율 등으로 '민심 이반'을 확인만 만큼 호남 배려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한편 이 신임 당 대표는 임기 첫날인 29일 첫 일정으로 현충원을 찾은 뒤 첫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다. 이후 경남 양산 평산마을을 찾아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한다. 이같은 첫날 일정은 '당내 통합'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