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헌 개정안 추인했지만 친윤·비윤 그룹 갈등은 격화

  • 임호
  • |
  • 입력 2022-08-30   |  발행일 2022-08-31 제1면   |  수정 2022-08-31 08:36
국민의힘 당헌 개정안 추인했지만 친윤·비윤 그룹 갈등은 격화
30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참석 의원들이 권성동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비대위 전환 요건을 정비하는 당헌 개정안을 추인하는 등 새 비대위 체제에 들어간다. 당내 비판에도 불구하고 비대위를 대신하는 새 비대위를 꾸리기로 하고 권성동 원내대표의 거취도 사퇴 수습 이후로 미뤘다. 추석 전까지는 내홍을 매듭짓겠다는 계획이지만, 친윤·비윤 그룹 간 갈등은 오히려 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30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새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위한 당헌 당규 개정안 의결을 위한 상임전국위를 신속히 소집해 추석 연휴 전까지 새 비대위 구성을 완료하기로 했다.

당내 의원들 사이에서 사퇴 요구가 제기된 권성동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는 봉합해 버렸다. 표면적으론 권 원내대표가 밝힌 '선(先) 수습- 후(後) 거취표명' 입장을 원내 의원들이 존중하는 식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비윤 그룹은 당장 사퇴를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의총에서는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 궐위된 경우를 비대위 전환이 가능한 '비상 상황'으로 규정하는 내용의 당헌 96조1항 개정안에 대해 의원들이 박수로 추인했다. 지난 26일 법원이 당의 '비상상황'을 인정하지 않아 이준석 전 대표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이 인용된 만큼, 당헌당규상 '비상 상황' 요건을 구체화해 수정한 것이다.

당헌을 개정해 법원이 제기한 절차적 하자를 보완하고 ‘이준석 전 대표 축출’을 기정사실화 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난관은 있다. 의총은 추인만 하고, 앞으로 당의 상임전국위 통과를 거쳐야 한다.

박형수 원내 대변인은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이 상임전국위 소집 요구에 불응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당헌에는 상임전국위 4분의 1 이상의 위원들이 소집을 요구하면 의장이 소집한다고 돼 있다. 설득해 나가겠"고 말했다.

의총 결과에도 불구하고 향후 비대위 출범까지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안철수, 윤상현, 조경태 등 상당수 중진 의원과 비윤 그룹들은 이날 권 원내대표 사퇴를 강력히 요구했다. ‘윤핵관’으로 불리며 이른바 ‘대통령 문자 노출 파동’의 당사자인 권 대표 사퇴 없이는 당의 총체적 난국으로 전락한 이 상황을 타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이제 단순히 ‘이준석 제거’의 정치 투쟁을 넘어, 집권여당의 국정운영 능력을 의심하는 여론을 그대로 방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날 의총에서 일부 의원은 당장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비대위 구성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한 것도 이같은 상황의 다급함 때문이다.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중진 의원들이 권 원내대표 사퇴를 강력히 요구했기에 추가 발언을 하지 않았을 뿐 당내 상당수 의원들은 현 체제로는 안된다는 확고한 의지가 있다"며 "추석 연휴 전까지 비대위를 구성하기는 쉽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