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서구 비산동 은행 ATM를 동시에 운영하는 공중전화 멀티부스 |
![]() |
대구 서구 평리동 원평치안센터 앞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를 겸한 공중전화 부스 |
![]() |
대구 달서구 성당동 공중전화 부스에 공기질 측정기가 설치돼 있다 |
길거리에 우두커니 서있는 공중전화 박스. 한때는 집밖을 나서면 유일한 통신수단이었다.
무선 호출기(삐삐)에 남긴 음성 메세지를 확인하려는 이들로 번화가에 위치한 공중전화에 인파가 몰리던 시절이 있었다.
휴대전화 보급이 이뤄지면서 이젠 쉽게 찾아보기 힘든 풍경이 됐다.하지만 공중전화는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수요가 줄면서 자연스레 대수도 줄었지만 공공서비스 본연의 기능이 남아 있어서다. 아울러 시대흐름에 맞게 한 장소에서 전기차 충전소, ATM기,공기질측정기 등과 머물며 변모하기도 한다.
◆ 무인공중전화 60년의 역사
최초의 옥외 공중전화는 1962년에 설치됐다. 무인공중전화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서울시청 앞, 중앙우체국 등 10곳에 설치됐다.
이전의 공중전화는 별도 관리인이 있었지만 옥외 공중전화의 등장으로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통화가 가능해졌다.
1978년 다른 지역 수신자와 통화할 수 있는 시외공중전화기가 출시됐다. 1986년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전화카드를 이용하는 카드식공중전화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는 공중전화 전성기였다. 무선 호출기가 보편화 됐고 공중전화 이용자가 크게 늘었다. 공중전화 앞에서 대기하는 피로감을 덜어주는 시티폰(발신전용 이동전화)도 한때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개인용 휴대전화가 보급되면서 공중전화도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1999년 기준 전국 최대 15만대가 설치됐으나 차츰 대수가 줄어들어 지난해에는 3천7천여대로 줄었다. 반면 휴대전화 보급률은 꾸준히 상승해 99%에 이른다. 군 장병들이 한동안 공중전화를 애용했지만 군부대 내 휴대전화 사용이 허가되면서 이 수요마저도 쪼그라들었다.
정부는 2017년부터 공중전화 운영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단계적으로 무인공중전화시설을 감축하고 있다. 다만, 전기통신사업법 상 공중전화는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제공해야 할 공공 서비스로 규정돼 있어 일정 규모 이상을 유지할 방침이다.
◆ 통신수단을 넘어 공중전화의 변신
시대변화에 따라 공중전화 기능도 확대되는 추세다.
공중전화 사업 주체인 KT 링커스에 따르면 2022년 8월말 기준 대구에 설치된 공중전화는 1천800여대이다.
10년 전인 2012년 말 4천여대가 운영됐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종류는 다양해졌다.비대면으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멀티부스'가 13개소 설치돼 있다. 공중전화 부스와 ATM을 동시에 운영해 시민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 및 데이터 분석을 목적으로 한 '공기질 측정기'도 지역 내 공중전화 146개소에 운영되고 있다. 일부에서 미세먼지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공기질 관리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는 셈이다.
특히 공중전화는 친환경차를 비롯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현재 대구에는 전기차 충전소 3개소가 공중전화 부스와 함께 운영되고 있다. 또한 '대구시 마이크로 EV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사업과 연계해 오는 2022년 말까지 전기이륜차 공유배터리 스테이션 부스를 55개소 구축할 예정이다.
KT 링커스 관계자는 "공유배터리 스테이션은 방전된 배터리를 완충된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는 시설로, 상용화되면 전기이륜차 이동거리 제한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중전화는 각 거점에 위치해 있어 스테이션을 설치했을 때 이점이 크다"면서 "공중전화 가치를 활용해 시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대구 공중전화 부스 설치 대수 (자료: KT링커스)
2012년 12월/ 4천대
2022년 8월/ 1천800대
▶공중전화 역사 연표(자료: KT링커스)
1962년/ 최초의 무인 옥외공중전화 설치
1969년/ 국산 공중전화기 등장
1978년/ 시외 공중전화기 출시
1986년/ 카드식공중전화기 출시
1995년/ 주화·카드 겸용 및 IC카드 공중전화 출시
1998년/ 콜렉트콜 수신자 부담 서비스 개시
1999년/ 공중전화 최대 15만대 설치
2017년/ 무인공중전화시설 감축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