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배터리-전기차 콘퍼런스 2022'행사에서 심태준 <주>영풍 그린사업실 전무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 |
영풍이 배터리를 팩 또는 모듈단위에서 파쇄해 생산한 ' 리튬배터리 플레이크(LiB Flake)'의 실제 모습. 이 원료물질은 리사이클링 작업을 통해 배터리 핵심소재인 리튬 등으로 변모한다. |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2차 전지 리사이클링 사업을 추진중인 <주>영풍이 최근 이와 관련한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다음 달부터 경북 김천에서 폐배터리를 분쇄해 '리튬배터리 플레이크(LiB Flake·원료물질)'를 확보한 뒤 이를 봉화 석포제련소에 있는 파일럿 공장(테스트용 공장·10월말 완공)에 보내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등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가동한다.
영풍은 지난 21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배터리-전기차 컨퍼런스 2022'를 통해 2차전지 신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영풍은 석포제련소에 들어서는 파일럿 공장을 필두로 2024년까지 연간 사용후 배터리 2만t(전기차 8만대 분)규모의 1차 상용화 시범공장을 완공한 뒤, 지속적으로 확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2030년 이후에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인 리튬·코발트·니켈 등 연간 70만t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소재 원료를 생산해 5조원대 매출을 올리겠다는 비전도 밝혔다.
그 준비단계로 영풍은 김천에 원료물질 생산거점을 확보했다.
김천에선 기존 방식과 달리 '사용후 폐배터리'를 팩 또는 모듈단위에서 그대로 파쇄해 니켈·코발트 등 주요 금속의 회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영풍측은 전했다.
다음달 하순쯤에는 이 곳에서 생산된 리튬배터리 플레이크를 석포제련소에 있는 파일럿 공장(건식 용융 리사이클링 방식)에 투입해 리튬 등 핵심 소재를 시범 생산할 방침이다.
건식 용융 리사이클링 방식은 리튬배터리 플레이크를 고온 용융로에 넣어 녹여 공기 중에 흩어지게 한 뒤 먼지(dust)형태로 각종 유가금속을 포집하는 신기술이 적용된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니켈·코발트·구리·망간을 95%이상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풍 관계자는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신기술은 원료에서 제품까지 공정을 단순화하고, 금속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제조원가와 투자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