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일 대구시교육청에서 열린 경북대·경북대병원 등에 대한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홍원화 경북대총장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
13일 대구시교육청에서 열린 경북대·경북대병원 등에 대한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경북대 관련 갖가지 의혹과 문제들이 도마 위에 올랐다.
우선, 여러 건의 '교수 채용 비리 의혹'에 대한 질타가 있었다. 또 대학의 연구 용역과 관련해 이른바 '셀프 용역'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윤석열 정부 첫 복지부장관으로 임명됐다 낙마한 교수에 대한 질의도 있었다. 의원들의 지적에 경북대 측은 각 사안별로 유감 표명, 설명 또는 반론을 내놨다.
경북대가 크고 작은 논란에 휩싸인 것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대구경찰청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여러 건의 경북대 관련 수사를 진행했거나 진행 중이다.
2018년에는 지역 한 유명 인사의 경북대 대학원 석사 논문이 표절 판명을 받아 빈축을 산 적이 있다. 또 몇 해 전엔 경북대 로스쿨이 학사관리를 부당하게 처리했다가 다른 대학 로스쿨과 함께 감사원 감사에서 적발된 일도 있었다.
물론, 경북대에 제기된 의혹이나 문제들은 수사나 자체 조사 등을 통해 실체적으로 규명돼야 할 부분도 있다. 하지만 의혹 내용은 우리 사회에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과연 대학이 추구하는 가치가 원칙과 공정성, 윤리의식, 양심 등이 맞느냐는 것이다. 아무리 작은 원칙이라도, 그것이 학교에서까지 무너진다면 그 사회는 병든 사회일 것이다.
이쯤에서 경북대는 물론, 전국 대학 전반의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민들 사이에서 나온다. 경북대를 졸업한 직장인 이모(26)씨는 "최근 들어 모교와 관련해 각종 논란이 많아 안타깝다"며 "사안에 따라 대학 측이 억울한 부분도 있을 것이고, 또 비판받아 마땅한 것도 있을 것이다. 이번 국감이 쇄신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또 다른 대구의 직장인 신모(37)씨는 "본인 역시 지역의 한 국립대를 졸업했는데, 국감에서 제기된 여러 의혹들이 비단 경북대 만의 문제인가 싶다"며 "대학들이 점점 각종 특혜나 반칙에 둔감해진다는 생각이 들고, 동시에 대학의 권위도 떨어지는 것 같다"라며 안타까워 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이현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