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 |
14일 산림청 국정감사에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경북 지역의 경우 올해 소나무재선충병이 재확산하고 있지만 방제 예산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예찰 강화 등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관련 정책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 정희용(경북 고령-성주-칠곡)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현황' 자료(올해 10월 기준)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병은 서울과 인천을 제외한 15개 시·도, 137개의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경북의 경우, 23개 시·군 중 21개 시·군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개 시·군(포항, 경주, 안동, 구미, 고령)은 피해등급이 3급으로 경북 전체 피해의 85%를 차지하고 있었고 고령군의 경우 기존보다 등급이 상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는 100% 고사되기 때문에 방제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산림청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관련 정책은 전체적으로 미흡하다는 것이 정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 산림청의 '연도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및 예산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5년까지는 피해 고사목에 대해서만 방제작업이 진행됐고 2016년부터 주변 소나무까지 방제 대상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4년 이후 연평균 200만 그루 이상이 방제되고 있지만 방제 예산은 2017년 814억 4천400만원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 559억 6천만원으로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정희용 의원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예찰을 강화하고 드론 등을 활용한 정밀예찰을 통해 누락목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추가 예산을 확보하는데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