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포항 포스텍 국제관 중회의실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무환 포스텍 총장, 포항지역 6개 병원장 등이 '대한민국 의사과학자 양성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경북도 제공> |
경북의 열악한 의료 현실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연구중심 의과대학 설립'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시장 규모 1경원이 넘는 바이오헬스산업에 최적화한 의사과학자(산업의사)를 집중 육성하는 기본 골격도 제시됐다.
경북도·포항시·포스텍 등 3개 기관은 20일 '대한민국 의사과학자 양성 및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포항의료원을 포함한 포항지역 6개 병원장과 포항 연구중심의대 설립 추진위원 등도 함께 했다.
협약은 △의대 및 병원 설립의 행정사항 지원(경북도·포항시) △바이오헬스산업 원천기술개발과 사업화 지원(포스텍) △인력교류 및 의료·의과학·의공학 분야 공동연구 △포항지역 6개 병원 간 임상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등을 담았다.
경북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바이오헬스 산업시장 규모는 1경3천조원에 이른다. 2026년이면 1경9천조원 선으로 폭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바이오헬스 시장 규모도 114조원(2020년)으로 성장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는 포항시·포스텍이 보유 중인 백신 및 신약개발 핵심 장비 '방사광가속기', 세포막단백질 연구소 등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연구부터 기술상용화까지 전주기적 산업화 인프라를 구축, 산업의사(의사과학자) 양성을 추진한다.
포스텍 연구중심 의과대학은 기존 임상 의사 양성이 아닌, 과학에 기반한 커리큘럼을 도입한 의과학 전문대학원 형태로 8년 복합학위 과정(2+4+2)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 설립과 동시에 2028년 개원을 목표로, 민간기업 투자유치를 통한 스마트병원(500병상), 의·과학 융학연구센터 건립도 추진하는 등 박차를 가한다.
경북도는 앞으로 산업의사 양성에 대한 의료계 인식 공유 및 대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민간자본 유치와 공동연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기업협력 유치 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앞으로 반도체·휴대폰·자동차 등 기존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다.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지방대학 인재가 중심이 돼 지방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