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중제골프장의 입장료(그린피)를 낮추는 방안을 내놨지만 대구경북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따라 '권역별 그린피 인하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중제 골프장 그린피 인하 방안을 담은 '체육시설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전국의 대중제골프장은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이 비회원에게 받는 그린피보다 3만4천원 낮춰야 한다는 게 골자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 대중제골프장의 그린피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가 지역 대중제골프장에 비해 3만4천원 이상 더 비싸기 때문이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집계한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비회원 그린피 평균은 평일 18만7천원, 토·일요일 24만6천원이고 대구경북지역 대중제골프장은 평일 14만6천원, 토·일요일 18만1천원이다.
금액 차이는 각각 4만1천원과 6만5천원으로 문체부가 고시한 3만4천원을 초과한다. 즉 지역 대중제골프장 그린피가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비회원 그린피에 비해 고시 요금(3만4천원) 이상 낮아 대구경북에선 해당 사항이 없는 셈이다.
결국 지역 대중제골프장의 그린피는 이번 문체부의 인하 방안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낮아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의미다.
다만 문체부는 올 연말쯤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 평균과 올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금액에서 3만4천원을 뺀 금액을 고시할 예정인데, 이 고시액이 나와야 대구경북 대중제골프장의 그린피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여지는 남아 있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문체부에서 그린피가 최고로 비싼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그린피를 근거로 삼는 바람에 빚어진 현상으로, 골퍼들의 이익보다 대중제골프장의 이익을 우선시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전국을 권역으로 나눠 실정에 맞는 고시 금액을 정해야 지역의 골퍼들도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은 코로나19 이후 과열된 골프 산업에 대한 정상화를 위한 것이지 억지로 지방 골프장의 그린피까지 낮추는 게 목적이 아니다"며 "연내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 평균을 근거로 한 고시 금액이 나오면 아마 대구경북지역 대중제골프장 중에도 그린피를 내려야 할 곳이 한두 곳 정도는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이에 따라 '권역별 그린피 인하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중제 골프장 그린피 인하 방안을 담은 '체육시설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전국의 대중제골프장은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이 비회원에게 받는 그린피보다 3만4천원 낮춰야 한다는 게 골자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 대중제골프장의 그린피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가 지역 대중제골프장에 비해 3만4천원 이상 더 비싸기 때문이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집계한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비회원 그린피 평균은 평일 18만7천원, 토·일요일 24만6천원이고 대구경북지역 대중제골프장은 평일 14만6천원, 토·일요일 18만1천원이다.
금액 차이는 각각 4만1천원과 6만5천원으로 문체부가 고시한 3만4천원을 초과한다. 즉 지역 대중제골프장 그린피가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 비회원 그린피에 비해 고시 요금(3만4천원) 이상 낮아 대구경북에선 해당 사항이 없는 셈이다.
결국 지역 대중제골프장의 그린피는 이번 문체부의 인하 방안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낮아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의미다.
다만 문체부는 올 연말쯤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 평균과 올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금액에서 3만4천원을 뺀 금액을 고시할 예정인데, 이 고시액이 나와야 대구경북 대중제골프장의 그린피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여지는 남아 있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문체부에서 그린피가 최고로 비싼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그린피를 근거로 삼는 바람에 빚어진 현상으로, 골퍼들의 이익보다 대중제골프장의 이익을 우선시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전국을 권역으로 나눠 실정에 맞는 고시 금액을 정해야 지역의 골퍼들도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은 코로나19 이후 과열된 골프 산업에 대한 정상화를 위한 것이지 억지로 지방 골프장의 그린피까지 낮추는 게 목적이 아니다"며 "연내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 평균을 근거로 한 고시 금액이 나오면 아마 대구경북지역 대중제골프장 중에도 그린피를 내려야 할 곳이 한두 곳 정도는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