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감도. 대구시 제공. |
국책사업으로 유치하고도 예비타당성조사(예타)에서 고배를 마신 '국가 로봇테스트필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 재심에 들어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대구 테크노폴리스에 조성될 국가로봇테스트 필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지난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날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예타 결과는 내년 6, 7월쯤 나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대구 국가로봇테스트 필드 예타 심사는 이번이 두 번째 도전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8월 서울, 부산 등 6개 시·도의 치열한 경쟁 끝에 대구테크폴리스 부지에 구축하기로 결정됐다. 산업부의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 중 투자 우선순위 1순위에 해당돼 사업의 시급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지난 8월 과기부 산하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예타를 통과하지 못해 최종 탈락했다. 산업부 주관 공모 사업에 선정된 국책 사업인 만큼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탈락이었다. 특히 예타 심사 과정에서 수도권 유치 의견마저 대두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산업부는 "지난 8월 지적됐던 문제를 보완해 다시 예타 신청을 한 것"이라면서도 "아직 결과를 예측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예타 결과가 내년 중순쯤 발표되는 만큼 사업 착공은 당초 2023년이 아닌 2024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패스트 트랙'으로 추진될 예정이어서 착공이 지연되더라도 완공 일정엔 지장이 없을 전망이다. 로봇 클러스터 사업은 내년 착공, 2029년 완공이 당초 계획이었다.
국가로봇테스필드는 국내 서비스로봇 산업을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대구시·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함께 추진하는 사업이다. 실환경 기반의 서비스로봇 테스트 인프라 구축과 로봇 제품의 안전성, 성능평가 기술개발, 실증지원을 통해 로봇 신시장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사업비만 총3천84억원에 달하는 대형 국책 사업이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