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상로<송원학원 진학실장> |
정시모집에서 가장 중요한 전형 요소는 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이지만, 수능 성적순에 따라 차례로 합격 대학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시를 둘러싼 수많은 변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인의 수능 성적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본인의 수능 영역별 성적에 유리한 수능 반영 방법, 관심 대학의 군별 모집 현황, 군별 수험생의 이동 경향, 학과 서열 등 입시 동향과 변수 등 목표 대학의 모든 정보를 정리해 두어야 원서 접수 전에 혼란을 피할 수 있다.
입시 전략 노트 작성 시에는 모든 희망 대학을 정리하기보다는 본인의 지원 원칙을 정하고 그에 따라 군별로 합격, 추가합격 가능, 불합격 등을 구분해 정리해야 한다. 지원 성향에 대한 원칙이 정해져야 같은 점수를 받았다 하더라도 차별화된 군별 지원 전략을 세우는 등 모집 군별 지원 전략이 확실해지기 때문이다.
올해 꼭 대학에 가야 하는 학생이라면 합격 지원을 중심으로, 재수도 어느 정도 고려하는 학생이라면 1~2개의 군에서는 합격 지원을 한 개의 군에서는 추합가능 지원 전략으로 지원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재수까지 각오하더라도 꼭 원하는 대학에 가고 싶은 학생이라면 추합가능 지원과 불합격 각오 지원 전략으로 가, 나, 다군 지원 대학을 선택한다. 또 지원 성향에 맞춰 입시 전략 노트를 작성해 두고, 성적 분석을 통한 정확한 내 위치 파악, 모의지원을 통한 지원 경향 분석, 실시간 경쟁률 확인 등을 종합해 꾸준히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아울러 각 대학 홈페이지에는 경쟁률 및 성적 등의 전년도 입시 결과와 요강 등의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 이는 올해의 합격 가능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기 때문에 해당 대학을 지원하는 수험생이라면 대부분 작년도 입시 결과를 통해 본인의 지원 가능성을 고민해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별로 발표하는 입시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우선 입시 결과를 산출한 대상을 파악해야 한다. 합격자 기준, 최초 등록자 기준, 최종 등록자 기준 등 대학마다 점수 산출 대상이 다르다. 대부분 주석을 달아 표기해 두지만 만약 명확한 기준이 없다면 해당 대학에 반드시 문의해야 한다. 산출 대상에 따라 점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마다 평균, 70% 컷, 80% 컷 등 점수 산출 기준이 다르다. 최종 등록자 기준의 같은 70% 컷이라고 해도 어떤 대학은 최종 등록자 100%를 기준으로 70% 컷 점수를 발표하고, 어떤 대학은 최종 등록자 중 상위 70% 성적에 해당하는 등록자들의 평균 점수를 발표하는 등 대학마다 점수 산출 기준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후자의 경우에는 입시 결과가 실제 결과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입시 결과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차상로<송원학원 진학실장>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