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양수산부 제공. |
지난 33년간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평균 9.9cm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관측지점별로는 울릉도의 해수면 높이가 가장 높았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하 조사원)은 19일 "지난 33년(1989년~2021년) 동안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이 평균 9.9cm 상승했다"고 밝혔다.
조사원은 기후변화 핵심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상승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으며, 매년 전년도까지의 조위관측소 자료를 수집하고 통일된 데이터처리 방식을 적용해 해수면 상승률을 계산하고 있다.
조사원이 우리나라 연안 21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수면은 지난 33년간 평균적으로 매년 3.01mm씩 높아졌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연 3.53mm)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서해안(연 3.08mm), 남해안(연 2.55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는 울릉도가 연 5.29mm로 가장 높았다. 이어 포항, 보령, 군산, 속초 순이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관측기간이 가장 오래된 목포 조위관측소의 약 60년 간 해수면 높이를 분석한 결과 해수면은 연평균 2.49mm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며, 62년 동안 15.4cm가 상승했다.
조사원은 "현재 우리 연안에 적합한 고해상도 해수면 상승 전망(~2100년)을 계산하고 있으며, 분석이 완료되는 대로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에 발표된 33년 연평균 해수면 자료와 분석 정보 역시 내년 상반기에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 www.khoa.go.kr/oceangrid)에 제공된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