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인구감소지역에 방치된 노후·유휴시설 활용과 관련해, 통합관리 플랫폼 및 임대주택 사업모델 구축, 시범지구 지정 등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은 19일 '인구감소지역 활력 증진, 노후·유휴시설 활용이 출발점'이란 제목의 연구보고서(CEO브리핑)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전국 평균 (47.2% )대비 대구시는 12.5%로 다소 낮았고, 경북도는 82.6%로 전국 최상위 수준이다. 읍·면·동 단위 소멸위험지역도 전국 평균 (50.4% )대비 대구시는 32.9%이다. 경북도는 81.9%로 전남도(85.4%)에 이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0년 이상 된 노후건축물은 대구 (48.9%), 경북 (43.7%) 모두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상위권이다.
인구감소가 심각한 도시들은 노후·유휴시설 활용사업을 핵심 도시관리정책으로 추진중이다. 부산시는 원도심인 중구 일대 빈 건물을 지역활동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창작공간('또가또가')으로 지원한다. 경기도 여주시는 비영리민간단체가 방치된 폐교를 임대해 '늘푸른자연학교'를 개교했다. 이후 농촌유학을 통해 초등생들을 유입시켜 인구유치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에 대경연은 대구경북의 시·군·구도 인구감소를 막고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노후·유휴시설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자산가치가 높은 노후·유휴시설은 지방공기업을 활용해 이를 공공자산으로 비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인구감소지역 기초지자체는 전수 실태조사를 우선적으로 추진해 활용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광역지자체가 총괄하는 노후·유휴시설 통합 및 관리 플랫폼 구축△지역특화형 임대주택 사업모델 구축 (노후유휴시설 활용 임대주택 기금 활용)△활용시범지구 지정 등이 세부대안 제시됐다.
정성훈 대경연 연구위원은 "노후유휴시설 재활용은 지속가능도시 관점에서 활발하게 추진되는 사업형태다. 민간투자를 활성화시키고, 도시정주여건 개선, 도시공간 효율적 이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대구경북도 노후 유휴시설 활용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효설기자 hobak@yeongnam.com

이효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