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9년 대구 최초로 지정된 국가산업단지(달성군 구지면 일대) 전경. |
이달 말로 예정됐던 국토교통부의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추가 지정지 발표가 해를 넘기게 됐다.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발표는 내년 1월 중순쯤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14년만에 신규 국가산단 지정을 노리는 대구시는 당분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태가 됐다. 계묘년 새해 첫째 달에 낭보가 날아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토부는 국토연구원에 위탁한 전국의 국가산단 지정 후보지(전국 19개 도시)에 대한 실사를 마치고 현재 각 후보지가 제출한 보완사항을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입지정책심의회를 거쳐야 하는 등 물리적 시간을 감안하면 내년 1월 중순쯤돼야 최종 후보지가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지역에 남은 마지막 대단위 산업단지 부지인 달성군 일대를 제2국가산단 후보지로 국토부 측에 신청한 상태다. 대구는 2009년 처음으로 국가산단(달성군 구지면) 지정을 받은 바 있다.
대구시가 국가산단 추가 지정을 받기 위해 넘어야 할 첫 걸림돌은 어느 정도 해소된 상태다. 여러 지자체에서 공동으로 요구한 국가산단 지정 후보지 내 농지의 산업시설용지 변경을 농림축산식품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한 것. 사전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된 셈이다. 국토부도 부담을 덜게 됐다. 당초 국토부는 '농지→산업시설용지' 변경이 가능해지면 향후 부처 간 협의 때 그린벨트 해제에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일단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 사업시행자 선정, 사전타당성 조사,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친 뒤 각 정부 부처별 협의과정에서 토지용도 변경 및 그린벨트 해제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대구시는 제2국가산단 후보지(총사업비 2조원 추산)에 로봇·미래모빌리티 등 첨단업종 기업을 집중 유치하는 전략을 짜놓고 있다. '스마트 국가산단'을 표방하고 있으며 내년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실제 기업 분양은 2029년부터 가시화할 전망이다. 후보지가 상대적으로 대구 도심과 가깝고 고속도로와도 잘 연결돼 있어 근로자 정주여건 및 물류비용 절감엔 큰 장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