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방 설문조사 응답자의 2023년 주택 매매가격 전망.직방 제공 |
부동산정보 서비스업체 '직방'의 앱 이용자 10명 중 7명은 올해 주택 매매가격 하락을 전망했다.
직방이 지난달 12일부터 26일까지 자사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응답자 3천89명) 한 결과, 전체 응답자 3천89명 중 77.7%는 올해 거주지역 주택 매매가격 '하락'을 예상했다. 반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불과했다. '보합'은 12.1%로 나타났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81.5%)과 5대광역시(대구·부산·대전·광주·울산, 80.7%) 거주 응답자들이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았다. 경기(74.8%), 인천(76.2%), 지방(75.3%)은 70%대를 보였다.
![]() |
직방 설문조사 응답자의 주택 매매가격 하락 전망 이유.<직방 제공> |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 중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58.2%)'을 가장 많이 손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이 다수 응답을 차지했다. 나머지는 5% 미만의 소수 응답이었다.
대다수가 지난해와 같은 '금리 인상 부담'과 '경기 침체'를 우려했으며 현재 부동산 가격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응답도 10% 이상이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한다고 전망한 이유로는 '정부 규제 완화 기대(25.1%)'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직방 관계자는 "재건축, 재개발 정비사업, 보유세, 대출, 규제지역 등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연 이은 추가 대책과 이에 따른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 회복 기대(17.5%) △금리인상 기조 둔화 기대(15.6%)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5.2%) △교통·개발 계획 등 호재(12.7%)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정부 규제 완화'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경기 회복 기대'를 가장 많이 응답해 미미하지만 차이를 보였다.
올해 거주지의 주택 전세가격은 69.5%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합'은 17.4%, '상승'은 13.1%로 나타났다.
매매 하락 응답비율보다는 낮지만 매매와 마찬가지로 전세가격도 하락을 전망하는 의견이 많았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72.8%), 지방 5대광역시(70.2%)가 70% 이상의 하락 응답 비율을 보였고 경기(68.2%), 인천(69.5%), 지방(66.1%)은 60%대의 하락 응답 비율을 나타냈다. 전세가격 하락을 예상하는 이유로는 '전세 대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48.7%)'가 가장 많았다.
임훈기자 hoony@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