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경찰청. |
경찰 안팎에서 복수직급제가 적용될 보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도 도입 첫해 전국적으로 역대 가장 많은 총경 승진 예정자가 발표된 만큼 치안정책 역량 강화 등 취지에 맞는 운영이 담보돼야 하기 때문이다.
복수직급제는 '어떤 한 직위에 일정한 직급이 아닌, 바로 위 또는 아래 직급도 보임할 수 있는 제도'를 뜻한다. 총경 복수직급제 도입에 따라, 기존에 경정(시·도 경찰청 계장, 일선 경찰서 과장)이 맡아온 자리에 총경을 보임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발표한 경찰 인사개편안에 따라, 총경 복수직급제는 경찰청 본청과 서울청·부산청·경기남부청을 총경급 전담 상황관리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 상황팀장 직위와 경찰대학 등 4개 소속기관 주요 직위에 적용된다. 각 시·도 경찰청에는 두 자리 정도 '총경 계장'이 도입될 전망이다. 다만, 승진 예정자를 포함한 총경 전보 인사가 설 연휴 직후 발표될 예정인 만큼, 아직 경찰청 내부에서 각 시·도 경찰청 복수직급제 배분 등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각 시·도 경찰청은 복수직급제 시행이 필요한 직위를 내부적으로 수합한 뒤, 이를 경찰청에 보고하게 된다. 최종 시행은 경찰청장 재가 후 이뤄진다. 총경 복수직급제 도입 목적이 경찰의 정책 역량 강화에 있기 때문에 관련 업무 수요가 많은 직위 위주로 보고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북청 내부에선 기획·예산 파트 등을 중심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조심스레 점쳐진다.
이 같은 전망이 나오는 건 최근 치안 행정의 방향이 사건 발생 후 범인 검거 등 사후조치 보다는 사전에 이를 예방·억제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범죄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범죄예방환경 설계(CEPTED) 시설물 건립 등을 위해 더 많은 예산 확보에 강점이 요구되는 만큼 대내·외적으로 '총경 계급'이 주는 무게감도 무시할 수 없다. 이외에도 수사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이나 조직 내부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직위에 시행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경북청 관계자는 "치안 정책 역량 강화 등 제도 도입 취지에 걸맞은 직위에 대한 복수직급제 시행 필요성을 경찰청에 보고했다. 현재는 의사결정을 진행하는 과정 중"이라며 "기획·예산·관계 법령 등과 연관 있는 업무의 수요가 많은 직위 등을 우선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