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안전부 제공. |
![]() |
행정안전부 제공. |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2020년, 2021년, 2022년 3년 연속 감속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는 2022년 12월 31일 기준 236만 여명(약 2만2천 명 감소), 경북은 260만 여명(약 2만 6천 명 감소)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구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가 44만 명으로 초고령 사회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15일 "2022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5천143만9천38명"이라며 "2021년(5천163만8천809명)보다 19만9천771명(-0.39%)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성별로 보면 남자 인구 감소는 4년 연속 이어졌으며, 여자 인구도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줄었다. 남녀 간 인구 격차는 16만5천136명으로, 2015년 처음으로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를 추월한 이래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여자 2천580만2천87명, 남자 2천563만6천951명이다.
전체 세대는 2021년 말보다 23만2천919세대(0.99%) 증가한 2천370만5천814세대를 기록했고, 평균 세대원수는 사상 최저치인 2.17명으로 줄었다.
1인 세대는 증가세가 이어져 전체의 41.0%(972만4천256세대)를 기록해 1천만 세대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세대와 2인 세대를 합하면 전체의 65.2%를 차지했다. 반면, 3인·4인 세대 이상 비중은 꾸준히 줄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21년말 대비 인구가 증가한 자치단체는 △경기(2만3천982명)△인천(1만8천939명)△세종(1만1천696명)△충남(3천780명)△제주(1천400명) 등 광역 5곳이다. 대구의 경우 2021년말 대비 2만1천721명이 준 236만3천691명, 경북은 2만6천117명이 감소한 260만492명이다.
연령대별 인구의 경우 50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2021년말에 비해 60대 이상 인구가 증가했다. 증가세를 이어가던 고령(65세이상)인구는 926만7천290명으로 전체 인구의 18.0%를 차지했다.
행안부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고령(65세 이상)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말 전체 인구의 18.0%를 차지하고 있다"며 "고령인구 성별 비중은 여자(20.1%)가 처음으로 20%를 돌파했고, 남자(15.9%) 보다 4.2%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시도별 고령인구 비율을 보면 전남(25.17%), 경북(23.78%), 전북(23.20%), 강원(22.77%), 부산(21.47%), 충남(20.58%) 등 6곳은 초고령사회에 해당된다.
무엇보다 대구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가 2021년말 42만 명(17.48%)에서 44만 명(18.43%)로 증가해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둔 것으로 드러났다.
226개 시·군·구별는 시 지역(75개)에서는 초고령사회가 32곳(42.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고령사회가 30곳(40.0%), 고령화사회가 13곳(17.3%)이었다.
군 지역(82개)에서는 초고령사회가 76곳(92.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고령사회 6곳(7.3%)이었다. 구 지역(69개)에서는 고령사회가 40곳(58.0%), 초고령사회가 23곳(33.3%), 고령화사회가 6곳(8.7%)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정부는 국가적인 당면 과제인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며 "관계부처와 협력해 지자체가 각자 특성에 맞는 지역활성화 정책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