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재부 제공.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일 "최근 수출부진 지속 등 실물부문의 어려움이 확대되는 가운데 물가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날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특히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 등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미국 연방준비은행과 시장과의 인식차가 당분간 지속될 경우 향후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연준은 1일(현지시간) 올해 첫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 뒤 성명을 통해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50~4.75%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이를 작년 한해 유례없이 가파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던 연준이 통상적인 금리 인상 폭으로 돌아가며 속도를 조절한 것으로 해석했다.
현재 연준은 물가 상승률이 아직 높은 만큼 금리 인상을 멈춰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올 들어 확연히 둔화한 물가 상승세와 경기 침체 조짐에 주목한 시장은 조만간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것은 물론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내다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문별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적기에 대응해 나가는 한편, 최적의 정책조합(policy mix)을 더욱 정교하게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추 부총리는 "국내 금융시장 안정세도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며 "최근 회사채 및 단기자금시장 안정으로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스프레드가 크게 축소되고 있으나, 비우량물까지 시장 안정세가 안착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40조 원 이상 확보하고 있는 대응여력을 활용해 시장안정세를 확산시켜 나가고,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의 회사채 발행도 어려움이 없도록 P-CBO(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 지원대상과 한도를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부동산부문 리스크 관리에도 만전을 다하겠다"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장에 대한 보증지원 확대 등으로 PF 시장을 안정화시켜 나가는 한편 건설사 유동성 지원 확대 및 부동산 대출규제 정상화 등을 통해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적극 유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고금리에 따른 금융 부담 완화 노력도 지속한다. 추 부총리는 "올해 중 10조원 규모의 정책서민금융을 공급하는 한편, 긴급생계비 대출 등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지원과 저금리 특례보금자리론 공급도 차질없이 실행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외환·자본시장 선진화도 추진한다. 추 부총리는 "해외소재 외국 금융기관의 국내 시장 참여 허용, 개장시간 연장 등을 통해 외환시장 접근성을 제고하고, 외국인 등록제 폐지, 상장사 영문공시 단계적 의무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국내 자본시장 투자환경 개선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