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경주 월성원전에 이어 부산 기장군 고리본부에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이 건립된다. 사진은 월성원전 건식 저장시설인 '맥스터' 전경. 영남일보 DB |
한국수력원자력이 7일 방사선보건원에서 2023년도 제1차 이사회를 열고 ‘고리원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 건설 기본계획(안)’을 의결했다.
건식 저장시설은 고리원전 부지 내에 건설하며 사용후핵연료가 저장된 금속용기를 건물 안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설계와 인허가, 건설 등 총 7년의 사업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리본부의 저장 용량이 포화하기 전인 2030년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건식 저장시설은 정부의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본 계획에 따라 중간 저장시설이 건설되면 사용후핵연료를 지체 없이 반출하는 조건으로 한시적으로 활용된다.
용량은 중간 저장시설 가동 전까지 필요 최소량인 2천880다발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고리본부는 이를 통해 가동 중인 원전의 지속적인 운전으로 전력 공급 안정과 고리 1호기 적기 해체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반출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주호 사장은 “건식 저장방식은 원전을 운영 중인 33개국 중 24개국이 채택한 안전성이 입증된 저장방식으로, 지진·해일 등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의도적인 항공기 충돌에도 시설이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강화된 규제 기준을 준수해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또 “설계 방향이 구체화하면 설명회·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과 소통하면서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며, 정부 기본 계획에 따라 고리지역과 협의해 합리적인 지역 지원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