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 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지역 변경 위한 환경영향평가 통과

  • 피재윤
  • |
  • 입력 2023-04-06  |  수정 2023-04-05 16:24  |  발행일 2023-04-06 제10면
김형동 의원 "안동지역 발전 획기적 전기 마련"
안동댐 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지역 변경 위한 환경영향평가 통과
지난달 16일 김형동 의원이 안동댐을 방문한 한화진 환경부 장관에게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인한 불합리한 규제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김형동 의원사무실 제공>
안동댐 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지역 변경 위한 환경영향평가 통과
안동댐 상류 전경<안동시 제공>

경북 안동댐 주변 자연환경보전지역의 용도지역 변경을 위한 환경영향평가가 5일 통과됐다.

김형동 의원(안동-예천·국민의힘)에 따르면 전체 231.2㎢에 달하는 자연환경보전지역 중 49.4㎢(여의도 면적의 약 17배)의 용도지역 변경을 위한 환경영향평가가 통과됐다.

1976년 '호소 중심선으로부터 가시거리'라는 모호한 기준으로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묶인 이래 가장 큰 규모의 용도지역 변경을 위한 환경영향평가가 통과된 것이다.

안동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에 이어 안동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동댐 주변의 자연환경보전지역은 1976년 4월, 안동댐 준공과 함께 안동시 전체면적의 15.2%에 해당하는 231.2㎢가 지정돼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만 명의 수몰민이 발생하고, 도시발전이 정체돼 안동시의 인구는 1970년대 27만여 명에서 현재 15만여 명으로 크게 줄었다.

댐 주변 지역은 낙후지역으로 전락했고, 안동시는 경북도청이 자리 잡고 있음에도 좀처럼 발전의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10여 년간 토지이용규제에 따른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타당성 검토 용역을 시작으로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 등과 수차례의 협의를 진행해 왔으나 번번이 환경영향평가의 벽을 넘어서지 못했다.

김 의원은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과 함께 안동 발전의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큰 산을 또 하나 넘었다"며 "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지역 변경에 한 걸음 다가섰지만 아직 산림청과 농식품부 협의, 경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가 남아있다"고 했다.

이어 "모든 절차가 마무리돼 안동의 획기적인 변화를 이뤄낼 때까지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안동댐 주변 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지역 변경이 마무리되면 다양한 지역개발이 가능해져 주민들의 소득원이 다양해지고, 재산권 행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 주변 관광자원과 연계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안동을 비롯한 경북 북부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김 의원은 지난해 8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자마자 환경부 장관에게 안동댐 주변 자연환경보전지역이 '호소 중심선으로부터 가시구역'이라는 불합리한 규제를 받고 있다는 점을 강력하게 호소했고, 환경부 장관으로부터 '과도한 규제'라는 답변을 받아낸 바 있다.

이후 국정감사와 업무보고 시 환경영향평가의 조속한 마무리를 촉구해왔고, 이를 위해 환경부 장관, 대구지방환경청장과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다.

지난달 16일, 김 의원의 요청으로 안동댐을 방문한 한화진 환경부 장관에겐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인한 불합리한 규제와 이로 인해 안동시민이 감내했던 고통과 희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자연환경보전지역 용도지역 변경을 위한 환경영향평가가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고 설득하기도 했다.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기자 이미지

피재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