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포스코와 포항의 소통을 통한 상생

  • 김남일 (경북 포항시 부시장)
  • |
  • 입력 2023-04-19  |  수정 2023-04-19 08:07  |  발행일 2023-04-19 제23면

[기고] 포스코와 포항의 소통을 통한 상생
김남일 (경북 포항시 부시장)

올해는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첫 쇳물이 출선(出銑)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당시 고로의 성공적인 준공으로 포스코는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鐵)을 자력으로 생산하며, 대한민국의 빛나는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끌었다. 그날 이후 지난 반세기 포스코는 포항시민의 자부심이자 소중한 자산이었다. 그렇게 영원할 것만 같았던 포스코와 포항의 동행은 지난해 '포스코지주회사 이전' 문제로 많은 우여곡절을 겪어야만 했다. 다행히 기나긴 진통 끝에 지난 3월17일 포스코 지주회사의 포항 이전이 결정됐고, 내일(4월20일)은 포스코 그룹 미래기술연구원의 포항 본원도 구축된다. 새로운 동행을 알리는 첫걸음이기에 진심으로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포스코가 '정비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면서 또다시 지역사회가 연일 들끓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를 본 포항제철소의 설비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정비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에 오는 6월 포항과 광양지역에 제철 공정 단위별로 기계·전기분야 정비 자회사를 설립할 예정이다. 하지만 그동안 유지보수 업무를 전담해 온 기존 협력사는 포스코의 자회사 설립 추진으로 인력과 기술 그리고 자산까지 넘겨야 할지도 모르는 존폐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또한 자회사 설립 시 일반자재는 물론 원·부자재와 공사설비 등의 구매와 관련해 포스코 계열사인 엔투비를 통한 전자상거래 플랫폼 거래가 의무화하면서 기존 협력사별로 물품·장비 등을 납품해 왔던 지역 소상공인의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포항시는 포스코 관계자와 면담을 갖고 자회사 설립으로 인한 지역경제 피해와 관련해 대책을 강구해 줄 것을 당부하는 한편 통폐합 대상 포스코 정비협력사를 직접 방문해 협력사 대표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또한 포스코를 재차 방문해 △수의계약 기준금액 상향 △지역업체의 엔투비 공급사 등록 시 진입장벽 완화 △엔투비 사용 시 지역 제한 확대 등 지역 소상공인의 피해방지를 위한 대책을 적극 요구했다.

'독목불성림(獨木不成林)'이란 말이 있다.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하니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포스코의 이번 자회사 설립 과정에서도 지역사회와의 어떠한 소통 없이 급박하게 일방적으로 추진됐다는 점에서 또 한 번 진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포스코는 더 이상 지역사회와의 소통에 소홀해서는 안 될 것이다. 포스코가 지역경제와 지역민 삶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충분히 소통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제부터라도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포항시민과의 약속인 '2·25 합의'의 실질적인 이행을 완성하고, 정비 자회사 설립 문제 등 포스코와 관련한 지역현안을 조화롭게 해결하기를 바란다. 포항과 포스코는 50년이란 길고도 어려운 세월을 동고동락하며 함께 성장해 왔다. 그 세월의 깊이만큼이나 50만 포항시민은 포스코를 변함없이 사랑하고 있다. 포스코의 발전이 포항 발전의 원동력이며 이는 곧 국가 발전으로 이어진다. '기업시민 포스코'라는 경영이념에 걸맞은 지역사회와의 진정한 소통으로 다가올 미래에도 포항과 함께 제2의 영일만 기적을 이루어 가기를 기대한다.
김남일 (경북 포항시 부시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