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대구 자치경찰 '과학치안'으로 날다

  • 박동균 대구시 자치경찰위 상임위원
  • |
  • 입력 2023-05-08  |  수정 2023-05-08 08:08  |  발행일 2023-05-08 제23면

[기고] 대구 자치경찰 과학치안으로 날다
박동균(대구시 자치경찰위 상임위원)

오랜 준비 끝에 기쁜 소식이 도착했다. 경찰청과 과학치안진흥센터가 주관하는 '2023 자치경찰 수요기반 지역문제 해결 R&D 사업'에 대구시·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위원회의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된 것이다. 대구자치경찰위는 자치경찰이 출범하면 반드시 이와 같은 큰 규모의 공모사업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그동안 철저하게 준비했다. 자치경찰의 주요 목적이 '시민안전'이고, 시민안전을 위해서는 CCTV·AI(인공지능)·드론 등 첨단과학치안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대구형 스마트 셉테드(CPTED·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사업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이는 시민이 능동적으로 자치경찰에 참여할 수 있는 주민설명회를 기반으로 대구테크노파크·대구도시공사 등과 함께 다양한 시민안전 프로그램을 수행한 결과다.

2021년 7월 자치경찰제가 새롭게 도입됨에 따라 각 지역의 치안 문제를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해야 하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추진된 이번 '자치경찰 수요기반 지역문제 해결 R&D 사업'은 AI·빅데이터·블록체인 등 첨단과학기술을 치안 분야에 도입해 획기적인 치안역량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윤희근 경찰청장이 취임 이후부터 강조한 '과학 치안' 사업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부응해 경찰청과 과학치안진흥센터가 지난 3월 18개 자치경찰위원회를 대상으로 첫 정부 지원사업 공모에 나섰고, 최종적으로 대구시와 제주특별자치도가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제출한 것이 이번에 선정됐다.

대구 자치경찰위는 이번 R&D 사업 선정으로 2027년까지 4년9개월간 최대 32억5천만원(국비 23억7천500만원, 시비 4억5천만원, 민자 4억2천500만원)을 지원받는다. 지역특성 및 치안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R&D사업 추진으로 자치경찰과 과학 치안 역량 강화 기반을 마련하는 첫 발걸음을 내딛게 됐다. 이 사업은 단순한 연구 개념이 아니다. 실제로 시민의 안전을 위한 정책이고 치안 서비스다. 반드시 실증(實證)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실증을 위해 대구경찰청과 협업해 지역거점(Spoke Lab) 구축을 통한 치안 수요 발굴 및 거버넌스 소통 플랫폼을 운영한다. 주민체감형 생활안전 솔루션 실증 및 확산으로 지역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국내 최초 과학 치안 전문가 양성과정을 운영해 과학 치안의 역할증대도 꾀한다.

이를 위해 △드론·AI·5G 기술 △AI 범죄예측 시스템 △지능형 CCTV 통합관제 등을 비롯한 치안기술을 개발하고 치안 현장 실증을 거쳐 이를 통합 플랫폼으로 구축하는 한편 대구와 제주에서 개발한 스마트치안기술을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신(新)산업기술 중 하나인 드론과 AI 기술을 과학 치안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산업 활성화와 함께 연구인력 확대 및 기업매출 신장에 따른 신규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여기에다 스마트치안 기술 선진화 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 선정은 설용숙 대구시 자치경찰위원장과 생활안전팀 등 전 직원의 노력과 열정이 만들어낸 결과다. 시민안전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성과가 나도록 모든 자원과 에너지를 투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모든 기관의 협력과 소통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나도록 로컬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은 필수적이다.박동균(대구시 자치경찰위 상임위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