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일 셔틀외교 복원, 이제 중·러 관계까지 지평 넓혀야

  • 논설실
  • |
  • 입력 2023-05-08  |  수정 2023-05-08 06:53  |  발행일 2023-05-08 제27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 현충원을 참배하고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기시다 총리의 다소 급작스러운 방문은 지난 3월 윤 대통령의 방일에 대한 답방 성격이 짙다. 윤 대통령은 오는 19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정상회담에 참여하는데, 이럴 경우 한국 대통령의 연이은 일본방문이란 외교적 불균형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과 일본의 셔틀외교가 복원됐다. 한일관계 개선은 윤 대통령 외교정책의 승부수로 보인다. 지난달 미국방문에 앞서 "100년 전의 일, 일본의 무릎 꿇기는 아니다"는 취지의 발언도 그 연장선상이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화려한 정상회담은 이 같은 한일 외교복원의 영향이 컸다.

지난 1분기 일본을 방문한 관광객 1위는 한국인(160만명)이었다. 반면 강제징용, 위안부, 독도,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 등 껄끄러운 현안은 일거에 해소하기 어렵다. 따라서 윤 정부의 신외교정책은 이제 역사적 평가의 몫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왕 그렇다면 지평을 새롭게 넓혀야 하는 과제가 있다. 먼저 국내의 비판 여론에 윤 정부가 마냥 불편해할 이유도 없다. 이는 외교현장에서 상대국에 대한 압박효과로 기능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당장 다가올 한·중·일 회담의 조율에 신경을 써야 한다. 동아시아 3국 간 다자협력 강화는 한미동맹 못지않은 중대 과제다. 여기다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와의 냉랭한 관계도 윤 정부가 컨트롤해야 할 부분이 됐다. 외교는 유리그릇 다루듯 민감한 사안이다. 국가적 자존심을 지키면서도 끝없는 실익을 향해 움직여야 한다. 한일 셔틀외교 복원이 국익외교, 실용외교의 시발점이 되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