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을 찾아 양국 정상회담 관련 영상으로 꾸며진 '70, 한-미 동맹이 걸어온 길' 미디어 아트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을 찾아 방명록을 기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6·25 전쟁 발발 73주년인 25일 한미동맹 70주년 전시를 관람하고 역사적 의미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한미동맹의 과거, 현재, 미래를 대표하는 인물들과 함께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을 관람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주최한 특별전에는 '조약으로 보는 한미동맹전', 이원복 교수의 '한미동맹 70주년 홍보만화', '한미동맹 6대 드라마', '한미동맹 미디어아트전' 등이 전시 중이다.
이날 윤 대통령 부부는 '숫자로 보는 한미동맹' 전시를 관람하고 참석자들과 만나 인사를 나눴다. 먼저 윤 대통령 부부는 국가보훈부와 한미연합군사령부가 공동으로 선정한 '한미 참전용사 10대 영웅'에 이름을 올린 김두만 장군, 고(故) 백선엽 장군과 고 김동석 대령의 후손인 백남희씨, 김미령씨(가수 진미령)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또 행사에는 조부·부친이 독립운동가이자 유엔군 참전용사인 인요한 세브란스 국제진료센터장, 모니카 토레스 넷, 알리비아 자위스키 등 참전용사 후손들과 미래세대를 대표해 외교부 위고(we go) 서포터즈, 국방부 온라인 서포터즈, 육·해·공군 사관학교 생도 등도 참석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전시회 현장에서 '영웅을 기억하는 나라: 한미 참전용사 10대 영웅' 전시 코너 앞에 마련된 방명록에 서명했다. 방명록에는 6.25 전쟁 영웅 김두만 장군, 한미 미래세대 대표 김병진 육군 사관생도와 참전용사 손녀 모니카 토레스 넷, 그리고 한미 양국의 주요 직위자 7명의 서명도 함께 담겼다. 서명은 이는 일반 국민에도 공개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 부부는 한수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의 설명을 들으며 이원복 교수 작화 '한미동맹 70주년 홍보만화', '한미동맹 6대 드라마', '한미동맹 미디어아트전' 등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든 전시를 참석자들과 함께 둘러봤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전시회가 많은 분께 한미동맹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특히 앞으로 한미동맹을 이끌 미래 세대들에게 한미동맹의 태동과 발자취, 동맹이 이룩한 성과들을 정확히 전달하는 전시가 되면 좋겠다"고 전했다고 대통령실이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우리는 참전 용사들과 그 가족들이 흘린 피와 눈물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며 "자유 대한민국을 있게 한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의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고 6·25에 대한 메시지를 냈다. 윤 대통령은 과거 오늘 미국이 참전을 결정했고 미군 178만명을 포함한 유엔군 195만명이 참전했다는 내용을 상시시킨 뒤 "공산 세력의 침략에 온몸으로 맞서 싸워 자유를 지켜낸 영웅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자유 대한민국을 더욱 굳건히 수호하고 세계시민의 자유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