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 |
정부는 26일 일본 오염수 해양 방류는 국제사회에서 합의한 것으로 가장 현실적 대안이란 입장을 내놓았다.
국무조정실 박구연 국무1차장은 이날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는 방법은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주축으로 한 국제사회가 합의한 방안"이라고 밝혔다.
박 차장은 "(사고 당시) 일본 내에서도 굉장히 복합한 논의가 있었고 국제사회에서도 그 상황을 예의주시했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중심으로 최종 선택 과정까지 다 참여를 했다"며 "현재의 방류 방식이 과학적 선례나 여러 가지 측면, 또 안정성 측면을 종합 고려했을 때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고 말했다.
또 "그런 기조로 지난 정부부터도 '그러면 이 방류 자체가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이뤄질 것인가'에 모든 역량을 쏟고 있는 단계"라며 "다시 7∼8년 전으로 돌아가서 그 논의를 꺼내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도쿄전력이 지난 12일부터 오염수 방류 시설의 1㎞ 길이 해저터널을 포함해 이송설비, 희석설비, 방출설비 등이 실제 작동할 때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는 시운전을 진행하고 있다고도 했다.
박 차장은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외교부 등이 일본 측에 관련 질의를 하는 등 상황을 확인하고 있다"며 "세부 결과 등은 추후 브리핑을 통해 다시 설명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천일염 공급 안정을 위해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지자체와 함께 지난 25일부터 합동점검반을 가동했다. 합동점검반은 천일염 업체들의 조기 출하를 유도하고, 포대갈이나 수입산 섞어팔기 등을 점검한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