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년 디지털타운 조성사업 선정결과. 행정안전부 제공. |
경주시와 영주시가 행정안전부의 '2023년 디지털타운 조성사업'에 선정됐다. 경주시의 경우 초거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행정안전부는 28일 "'2023년 디지털타운 조성사업' 공모에 최종 9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9개 지자체는 경기 수원시, 강원 동해시, 인제군, 전북 전주시, 고창군, 전남 장흥군, 경북 경주시, 영주시, 경남 통영시 등이다.
디지털타운 조성사업은 인공지능, 스마트센서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복지·안전 사각지대 해소 등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사업비 증가와 지방비 매칭 비율이 완화돼 보다 많은 지자체가 응모할 수 있도록 했으며, 개별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도 지난해 5억에서 8~9억 원으로 증액됐다.
경주시에선 '살기 좋은 디지털 안강타운 조성사업'이 추진된다. 구체적 사업 내용은 △귀농·귀촌 농가 보유 농기계 관리·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지역 주민, 귀농·귀촌 인구 간 자원(인력, 농기계, 영농기술 등) 공유 및 상호 소통플랫폼 구축 △ 위기 가구 발굴·관리를 위한 'AI 자동콜' 서비스 구축이다.
행안부는 "경주시는 초거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복지·안전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며 "이를 통해 주거취약, 고령자, 치매노인 등 복지사각지대 대상자에게 사물인터넷(IoT)응급안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기가구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인공지능(AI) 건강·안전 케어콜 서비스를 통해 응급 알림, 말벗 대화, 안부 확인 등의 서비스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영주시에선 '청년·귀농인들의 잘사는 꿈 이 실현되는 영주형 디지털타운' 사업이 추진된다. 사업 내용은 △ 영농 창업 지원 공간 조성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특산물 판매를 위한 촬영 스튜디오 구축 △가상현실기술(VR)을 활용한 특산물 체험 콘텐츠 제작 △영농 창업 전주기 관리를 위한 통합 플랫폼 구축이다.
행안부는 "영주시는 마을 자립형 정보통신기술(ICT) 연계 서비스와 청년·고령층 창업공간 맞춤형 제공을 통해 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활력을 도모한다"고 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