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감미료 관련 이미지. 광동제약 제공. |
막걸리·식품 업계가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한 데 따른 대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4일 "막걸리 업계에서는 국제암연구소(IARC)의 발암유발 가능성 제기에 따른 소비자 우려를 감안해 대부분 아스파탐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14일(현지시간) 아스파탐 유해성 평가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내고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아스파탐을 포함하기로 했다. 대신 아스파탐에 매겨진 기존 일일섭취허용량은 유지하기로 하고, 일일섭취허용량을 체중 1㎏당 40㎎으로 재확인한다고 발표했다.
막걸리협회에서는 감미료 사용량이 적어(전체 용량의 약 0.01%) 대체에 따른 수급·가격 문제(대체감미료의 당도·단가 고려시 원가는 오히려 하락 예상)는 크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다.
농식품부는 또 "음료·과자 등에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일부 식품업계 역시 대부분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 중으로 큰 어려움은 없다는 입장"이라며 "다만 감미료 대체에 따른 막걸리 맛 변화 연구, 품목제조변경 신고, 라벨 교체 등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