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31일 국회 당 사무실에서 최고위 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번 주 휴가를 마치고 복귀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고심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휴지기 간 검찰의 구속영장이 재청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 의혹과 함께 사법 리스크가 당 전반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논란도 수습해야 한다.
이 대표가 혁신위 논란을 어떻게 풀 것인지 주목된다. 김은경 혁신위원장 논란 여진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김은경 혁신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젊은 사람들과) 일대일 표결해야 하느냐"고 발언, 논란에 휩싸였다. 대한노인회를 중심으로 논란이 커지자 김 위원장은 물론 민주당 지도부까지 잇따라 고개 숙여 사과했지만, 당내에서도 김 위원장의 사퇴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가장 큰 고민은 사법 리스크다. 정치권 일각에선 검찰이 국회 휴지기 중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검찰이 임시국회가 열리지 않는 오는 15일 안에 구속영장을 청구한다면, 이 대표는 윤관석·이성만 무소속 의원처럼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 없이 영장실질심사를 받아야 한다. 법원에서 구속영장을 발부할 수 있어 이 대표로선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으로 탈당한 무소속 윤관석 의원이 지난 4일 구속된 터라 더욱 그렇다.
민주당 박광온 원내대표는 6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표에 대한 국회 비회기 중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 대해 "비회기 중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하면 법원에 나가서 영장실질심사를 받겠다고 일관되게 말했다"며 "명확하게 법원의 판단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검찰이 8월 임시국회가 열리는 16일 이후 구속영장을 청구하더라도 혼란이 불가피하다.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을 거쳐야 하는데, 당내 무더기 이탈표와 가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지난 2월 대장동 개발 비리와 성남FC 후원금 의혹 등으로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이 청구됐을 때 대거 이탈표가 발생한 바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