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가 17일 오후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2023년 임·단협 투쟁선포 기자회견 및 확대간부 결의대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이윤호 기자 yoonhohi@yeongnam.com |
경북대병원, 동산의료원, 대구가톨릭대의료원 등 의료연대본부 대구지부 소속 6개 분회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임금 및 단체협약 투쟁을 선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는 17일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정규직 철폐, 의료민영화 반대, 병원 필수 인력 충원 등과 반노동 윤석열 정권 퇴진을 위한 투쟁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본부는 "대구 3개 상급종합병원의 비정규직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직접 고용 비정규직 수는 총 1천306명으로 노동자 7명 중 1명이 비정규직으로 확인됐다"며 "코로나 3년을 겪고도 비정규직 사용과 안정된 병원 인력 충원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정부에 환자·노동자 모두가 안전한 병원을 만들기 위해 △병원 상시업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6명을 위한 인력충원과 보건의료 인력 기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또 노조는 감정노동자에게는 휴가, 야간근무자에게는 유급휴가를 지급할 것을 함께 요구하기도 했다.
우성환 경북대병원 분회장은 "정부는 각 직종 대표와 합의만 하면 근로조건, 임금 체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 부분별 근로자 대표제를 도입하려 한다. 이렇게 되면 노조의 역할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이윤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