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일일브리링. 연합뉴스. |
지난 24일부터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방류한 이후 삼중수소 농도 등 평가 대상 핵종 69개의 분석값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는 앞으로 100일간 고강도 수입수산물 원산지 표시점검에 나선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28일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오염수의 삼중수소(트리튬) 농도 등이 기준치 이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삼중수소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도 거를 수 없는 핵종이다.
도쿄전력이 공개한 삼중수소 등 측정·평가 대상 핵종 69개의 분석값에 대한 고시농도비율총합은 0.28로 기준치를 만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시농도비율총합은 핵종별 배출기준 대비 실제 측정값의 비율을 모두 합한 수치다. 이 값이 1을 넘게 되면 ALPS(다핵종제거설비) 정화를 거쳐야 한다.
해수배관헤더의 삼중수소 농도 역시 리터당 최소 142Bq(베크렐), 최대 200Bq을 기록해 기준치를 밑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수배관헤더는 K4 탱크에서 흘러나온 오염수가 해수와 결합하는 장소로, 희석 후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배출목표치는 리터당 1천500Bq 미만 여부다.
해수와 희석된 오염수가 방류 전 모이는 상류 수조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당 43Bq에서 최대 63Bq로, 배출목표치인 리터당 1천 500Bq을 충족했다.
또 인근 해역 3km 이내 측정 결과는 검출 하한치(4.6Bq) 미만으로, 기준치를 크게 하회했다. 3km 이내에서 리터당 700Bq, 10km 이내에서 리터당 30Bq이 기준치다.
도쿄전력이 설치한 방사선 감시기 측정값도 기준치를 하회했다. 방류 이후 취수구와 상류수조에서는 각각 7.5~8.5, 4.8~5.3cps가 측정됐고, 이송펌프에서는 4.7~5.8cps가 기록돼 평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방사선 감시기는 시료 채취·분석 작업 없이 실시간으로 방사선 세기를 측정한다. 다만 통상의 시료 분석이 초당 핵종이 붕괴하는 횟수 즉 베크렐(Bq) 값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1초당 방사선 감시기에 들어오는 감마 방사선 개수를 기록하는 차이가 있다. 측정값도 베크렐이 아닌, 'CPS'란 단위를 사용한다. 도쿄전력은 해수 취수구와 상류 수조, K4 탱크에서 해수배관헤더로 나가는 오염수의 이송 펌프 출구에 각각 방사선 감시기를 설치했다.
방류 개시 후 해수 유량은 시간당 1만5천㎥ 내외를 유지했고, 오염수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3㎥로 해수 희석이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도쿄전력은 시간당 1만3천750㎥ 이상의 해수에 22㎥ 미만의 오염수를 희석해 방출할 계획이다.
국내해역이 안전하다는 입장도 내놓았다.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은 "해수부가 방류 이후 국내 3개 해역(남동·남서·제주) 15개 지점에서 방사능 조사한 결과, 결과가 도출된 5개 지점에서 모두 세슘과 삼중수소가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28일부터 100일간 고강도로 '제2차 민관합동 수입 수산물 원산지표시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정부는 올해 수입 품목 중 소비량이 많은 가리비, 참돔, 우렁쉥이를 중점 품목으로 지정하고, 중점 품목 포함해 수입 이력이 있는 약 2만개 업체를 대상으로 원산지 표시를 집중 확인할 방침이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소속 특별사법경찰관 등으로 구성된 정부점검반(2회)과 지자체점검반(1회)이 대상 업체를 3회 이상 전수 점검한다.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했을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으면 5만원 이상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