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상주와 영덕, 청송 일대 야생멧돼지 포획에 팔을 걷어붙였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는 7일 "최근 5단계 광역울타리(상주~영덕) 이남 지역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지속 검출(7건)됨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안전부, 환경부가 참여하는 긴급 상황점검 회의를 지난 6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중수본에 따르면 2019년 10월 강원도 접경에서 시작된 야생멧돼지 ASF 발생은 지속 남하해 지난 8월 말부터는 5단계 광역 울타리 방어선(상주~영덕)을 넘어 영덕군 울타리 이남에서 5건이 확진됐다. 이어 9월 4일에는 청송군에서 처음으로 야생멧돼지 2마리에서 ASF 양성이 확진됐다.
중수본은 "환경부는 5단계 광역울타리 이남에서 처음 발생한 청송군에 대해 열화상 드론과 연계한 포획단(엽사)이 야생멧돼지를 집중 포획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더불어 농식품부와 환경부는 ASF 확산 예상 경로 멧돼지 집중포획, 울타리 관리 강화, 농가 차단 방역 등 '경북지역 ASF 확산 방지 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해 이를 조속히 확정·시행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농식품부, 행안부, 환경부는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최근 야생멧돼지 ASF가 지속 발생하는 영덕군과 청송군 지역을 중심으로 광역울타리 현장 점검과 함께 시·군 방역 관리 체계와 농가 방역 실태도 점검할 방침이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는 7일 "최근 5단계 광역울타리(상주~영덕) 이남 지역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지속 검출(7건)됨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안전부, 환경부가 참여하는 긴급 상황점검 회의를 지난 6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중수본에 따르면 2019년 10월 강원도 접경에서 시작된 야생멧돼지 ASF 발생은 지속 남하해 지난 8월 말부터는 5단계 광역 울타리 방어선(상주~영덕)을 넘어 영덕군 울타리 이남에서 5건이 확진됐다. 이어 9월 4일에는 청송군에서 처음으로 야생멧돼지 2마리에서 ASF 양성이 확진됐다.
중수본은 "환경부는 5단계 광역울타리 이남에서 처음 발생한 청송군에 대해 열화상 드론과 연계한 포획단(엽사)이 야생멧돼지를 집중 포획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더불어 농식품부와 환경부는 ASF 확산 예상 경로 멧돼지 집중포획, 울타리 관리 강화, 농가 차단 방역 등 '경북지역 ASF 확산 방지 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해 이를 조속히 확정·시행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농식품부, 행안부, 환경부는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최근 야생멧돼지 ASF가 지속 발생하는 영덕군과 청송군 지역을 중심으로 광역울타리 현장 점검과 함께 시·군 방역 관리 체계와 농가 방역 실태도 점검할 방침이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