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병관리청 제공> |
최근 5년간 벌에 쏘여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5천여명에 달하는 가운데 4건 중 1건은 9월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 및 벌초를 나설 때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 최근 5년(2017~2021년)간 벌 쏘임 사고는 총 5천457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1명이 입원했고, 24명이 사망했다. 연평균 사망자는 4.8명,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사인인 경우가 15건이었다.
특히 벌 쏘임 사고는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8~9월에 집중됐다. 8~9월 발생한 벌 쏘임 사고가 2천730건으로 절반을 차지했고, 24명 사망자 중 13명이 8~9월 사망했다. 8월 벌 쏘임 사고는 1천350건(24.7%), 9월이 1천380건(25.3%)이다. 더위가 한풀 꺾이고 벌초와 성묘, 단풍놀이 등 야외활동이 증가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성별로는 남성(3천512건·64.4%)이 여성(1천945건·35.6%)보다 약 1.8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1천367건·25.1%)와 60대(1천170건·21.4%)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요일별로는 평일보다 주말인 토요일(21.0%)과 일요일(24.8%)에 주로 발생했고, 정오부터 오후 6시까지 오후 시간대(43.6%)에 많이 발생했다.
벌 쏘임 사고는 휴식, 식사 등과 같은 일상생활(40.6%)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여가활동(21.7%), 무보수 업무(17.3%), 업무(16.6%)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특히 벌초, 화단정리, 밤 따기 등 무보수 업무 중 사고는 9월(27.3%)에 많이 발생했다.
벌 쏘임 주요 예방법은 ▲벌을 자극하는 향이 있는 물품 사용 자제 ▲밝은색 옷 입기 ▲긴 옷을 이용한 팔·다리 노출 최소화 ▲벌집 접촉 시 신속대피 등 4가지가 있다. 벌에 쏘였을 시 주요 대처법은 ▲카드 등으로 긁어 신속히 벌침을 제거 ▲소독 후 얼음찜질 시행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 등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벌은 10월 중순까지 활발한 활동을 보이므로 10월까지 벌 쏘임에 유의해야 한다. 산 등 야외에 나갈 경우 예방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