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별 맞춤형 빈 일자리 대책 10월 발표

  • 구경모
  • |
  • 입력 2023-09-13 14:38  |  수정 2023-09-14 08:35  |  발행일 2023-09-13
비수도권 인구유출, 고령화로 인력난 장기화

노동부 "빈 일자리 규모 큰 업종 등 타케팅"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 내년 652억원 확대
정부, 지역별 맞춤형 빈 일자리 대책 10월 발표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일자리TF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지방자치단체별 여건·수요에 따른 지역별 맞춤형 빈일자리 대책을 마련해 10월 중 발표한다.

김병환 기재부 제1차관은 13일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에서 "일부 지역은 인구유출과 고령화, 노후화된 산업기반 등으로 인해 인력난이 장기화,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간 정부는 두 차례에 걸쳐 빈 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7월에는 빈 일자리수가 전년 동월 대비 1만3천 명 감소하는 등 일부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빈 일자리란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뜻한다.

하지만 비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유출과 고령화, 노후화된 산업기반 등으로 여전히 인력난이 장기화·고착화되고 있다는 게 정부의 평가다. 이에 정부는 지자체별 여건·수요에 따라 빈 일자리 수가 큰 업종과 구인난 현장 체감도가 높은 업종을 선정, 맞춤형 대응방안을 구체화하고 지자체 협의를 거쳐 관련 대책을 10월 중 발표한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산업구조와 인구구조 등 지역별 특성에 따라 인력부족의 원인과 구인난 업종 등이 상이하므로, 이번 광역단체별 맞춤형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했다.

또 "지역별 빈 일자리 규모가 가장 큰 업종과 구인난 현장 체감도가 높은 업종을 타겟팅해 자치단체 주도로 인력난 원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며 "정부는 공모사업 등을 활용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특히 제조업 등 지역의 구인난 업종·기업에 채용장려금 등을 우대 지원하는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을 올해 356억 원에서 내년 652억 원으로 대폭 확대 하겠다"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