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일자리TF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제공. |
정부가 지방자치단체별 여건·수요에 따른 지역별 맞춤형 빈일자리 대책을 마련해 10월 중 발표한다.
김병환 기재부 제1차관은 13일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에서 "일부 지역은 인구유출과 고령화, 노후화된 산업기반 등으로 인해 인력난이 장기화,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간 정부는 두 차례에 걸쳐 빈 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7월에는 빈 일자리수가 전년 동월 대비 1만3천 명 감소하는 등 일부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빈 일자리란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뜻한다.
하지만 비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유출과 고령화, 노후화된 산업기반 등으로 여전히 인력난이 장기화·고착화되고 있다는 게 정부의 평가다. 이에 정부는 지자체별 여건·수요에 따라 빈 일자리 수가 큰 업종과 구인난 현장 체감도가 높은 업종을 선정, 맞춤형 대응방안을 구체화하고 지자체 협의를 거쳐 관련 대책을 10월 중 발표한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산업구조와 인구구조 등 지역별 특성에 따라 인력부족의 원인과 구인난 업종 등이 상이하므로, 이번 광역단체별 맞춤형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했다.
또 "지역별 빈 일자리 규모가 가장 큰 업종과 구인난 현장 체감도가 높은 업종을 타겟팅해 자치단체 주도로 인력난 원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며 "정부는 공모사업 등을 활용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특히 제조업 등 지역의 구인난 업종·기업에 채용장려금 등을 우대 지원하는 '지역형 플러스 일자리사업'을 올해 356억 원에서 내년 652억 원으로 대폭 확대 하겠다"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