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중앙지법이 2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 뒤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7일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추석 연휴 이후 여야 지지율 변화에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총선을 6개월여 앞두고 여야 모두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힌 가운데, 추석 밥상 민심에 따라 큰 폭의 변동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은 이 대표 구속영장 기각이 추석 민심에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면 반색하고 있다. 이 대표의 장기간 단식과 체포동의안 가결로 지지층이 결집한 데 이어 구속영장 기각으로 중도층 표심까지 일정 부분 돌아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표면적으로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됐다고 해서 '사법 리스리크'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사법 리스크'에 총력전을 펼쳐온 만큼 '검찰의 무리한 수사', '야당 대표 탄압'라는 프레임에 갇힐 경우 '역풍'이 일수 있다면 우려하고 있다. 정치권은 최악의 경우 단기적이지만 여당에 대한 지지율이 크게 출렁거릴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국민의힘은 지난 27일 나온 영장 기각 소식에 예정됐던 지도부 추석 귀성객 인사 일정까지 미루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와 비상 의원총회를 잇달아 소집했다. 또 법원의 기각 결정을 '유권석방 무권구속'이라 비판하며 법원이 위증교사 등 일부 혐의를 인정했다는 점을 부각했다. 당 내부에선 장기적으로는 영장 기각이라도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는 상존하는 만큼 불리하지만은 않다는 반응도 내놓고 있다. 즉,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가결 과정에서 표출된 계파 간 갈등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
반면 민주당은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이 추석 밥상 민심의 핵심 화두로 떠 오르면서 승기를 잡았다는 반응이다. 민주당은 체포동의안 가결로 '방탄 정당' 이미지에서 벗어난 것은 물론 영장 기각으로 '무리한 수사'라는 반격 프레임이 완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반격은 이재명 대표로부터 시작됐다. 이 대표는 29일 SNS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과의 '민생 영수회담'을 전격 제안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이나 대통령실은 아무런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민주당 박성준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진정 민생을 챙기고 경제를 살리겠다면 야당을 모욕하지 말고 영수회담에 응하기 바란다"며 압박했다.
민주당은 영수회담이 무산된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민생이 최우선이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민생'보다 '야당 탄압'에만 골몰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덧씌우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 분위기이다. 또 영수회담이 성사되면 정국 주도권을 민주당이 잡는 형국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연휴를 지나면 정체된 당 지지율이 상승세를 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