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이후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당 대표 책임론'을 둘러싸고 격론이 벌어졌다. 김기현 당 대표 체제 유지를 위해 임명직 당직자 8명이 지난 14일 일괄사퇴했지만 수습에는 턱없이 부족한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15일 오후 4시 10분부터 4시간 넘게 비공개 의총을 열었다. 이날 의총에선 모두 20여 명이 발언했는데, 대다수가 비대위 전환보다는 김기현 체제로 가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렸다.
친윤 그룹으로 대표되는 국민의힘 주류 측은 임명직 당직자 일괄 사퇴로 쇄신의 발판이 마련됐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김 대표 체제를 흔들지 마라. 더 이상의 분열은 안되는 만큼 힘을 모아야 한다" 등의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나 비주류 측은 '당대표가 물러나야 한다', '꼬리자르기식 임시방편으로는 안 된다' 등의 주장을 펼치면서 비판론을 제기했다.
특히 보궐선거 참패에 대해 김 대표가 사퇴하지 않고 계속 책임을 회피하면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표심을 얻기 힘들다는 주장이 나왔다. 하지만 대다수 의원들은 '수도권 위기론'에는 공감했다.
이날 윤상현 의원은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정말로 여론이 무섭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엄중한 상황 인식을 잘 못 느끼는 분(의원)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변화 혁신만이 살 길이다. 지금은 변화 혁신이 화두지 단결이냐 분열이냐 이게 아니다"라며 "비대위 수준의 혁신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총 후 김 대표는 입장표명을 하지 않았고, 윤 원내대표가 대신했다.
윤 원내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우선 김 대표를 중심으로 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받들어 변화와 쇄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며 "정책 정당의 면모를 일신해서 민생경제 회복과 사회적 약자 보로헤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 대표께서 변화와 혁신에 관한 구상을 언급했다. 당의 혁신기구와 총선기획단을 출범시키고, 인재영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최고위원 등 현재 공석인 임명직 당직에 대한 인사는 빠르면 16일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날 총사퇴한 임명직 당직자들의 후속 인선은 수도권·충청권 인사들을 전면 배치할 것으로 보인다. 사무총장에는 중진인 3선의 하태경, 유의동, 재선의 김성원, 송석준 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