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 위원들이 제304회 임시회 기간 중이던 지난 16일 군위군 신공항 건설부지를 찾아 관계자로부터 신공항 건설 추진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대구시의회 제공〉 |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의 필수과제이자 선결과제인 SPC(특수목적법인) 사업대행자 선정을 위해 정치권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핵심은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참여다.
국무회의에서 TK신공항 예비타당성 면제 안건이 통과되고 TK신공항 건설·후적지 개발 분석에서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결과가 도출된 만큼 LH가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됐다는 게 정치권의 판단이다.
현재 대구경북 정치권은 LH를 향해 압박과 설득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공공기관의 의무를 강조하면서 매력적인 당근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민의힘 강대식(대구 동구을) 의원은 17일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TK신공항 건설·후적지 예타 면제 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한 만큼 민간기업 입장에서는 사업 신뢰가 한층 높아졌다"며 "이제 LH가 TK신공항 특수목적법인(SPC) 참여 여부만 남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LH는 부채 비율도 높고, 여러모로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LH가 TK신공항 건설과 같은 신사업에 참여할 경우 안게 될 리스크를 정부와 대구시가 어떻게 보존해 주느냐가 관건"이라며 "대구시와 중앙정부의 유기적 협력은 물론, 정치권도 목표 시점을 좀더 앞당길 수 있도록 조기 토지보상 방안 등 TK신공항특별법 개정 노력을 한다면 LH의 참여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강 의원은 지난 16일 국토교통위 국정감사에서 LH 이한준 사장이 "현재 상황에서는 TK신공항 건설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자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강 의원은 "대구경북은 미래 100년의 청사진인 TK신공항의 성공적 건설을 희망하고 있다. 물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조속한 사업추진이 중요하다"며 "지역균형발전 등에 대한 공기업 의무와 기능을 잊은 채 여러 조건만 제시하면서 시간을 끈다면 대선공약과 국정과제 이행은 물론 균형발전의 타이밍을 놓치는 것이라 판단된다"고 결단을 촉구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