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지역 대학병원들, '빅5' 수준 못 되란 법 없다

  • 논설실
  • |
  • 입력 2023-10-23  |  수정 2023-10-23 06:56  |  발행일 2023-10-23 제23면

정부와 정치권이 모처럼 건설적인 이슈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바로 의료 개혁이다. 윤석열 정부는 3대 개혁과제로 노동, 교육, 연금 분야를 제시했는데, 의료는 이들 3대 분야와 공히 연계돼 있다. 의사·간호사는 의료인력의 노동문제에 직결되고, 대학병원은 의대 초집중 입시라는 교육 현장의 허와 실 범주에 있다. 의대 입학 정원만 해도 무려 18년간 동결됐다는 이해하기 힘든 상황을 마주한다. '응급실 뺑뺑이'가 일상이 되고, 지방 환자들이 서울로 KTX를 타고, 지방 종합병원에 의사가 없다는 소리마저 들린다. 의대 입학정원 확대와 필수 의료인력에 대한 지원이 여론의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는 배경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역과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는 의료인력 확충과 인재양성은 필요 조건"이라고 공언했다. 이는 의사단체의 시비에 걸려 중단될 수 없는 중대한 사안이 됐다.

경북대병원을 비롯, 지역거점 국립대 병원을 서울의 이른바 '빅5(서울대·세브란스·삼성·성모·아산병원)'수준으로 키운다는 방침은 지켜볼 만한 목표다. 경북대 의대 정원은 한때 200명이었는데 110명으로 줄었다고 한다. 다만 목표는 좀 더 평등하고 거시적이어야 한다. 대구의 경북대, 영남대, 계명대, 가톨릭대 병원 모두가 서울의 병원을 따라잡겠다는 야심 찬 장기 플랜이 뒤따라야 한다. 예를 들면 경북대병원은 대대적인 투자와 병원 증축으로 공간을 확충하고, 현대 의료서비스의 동선에 맞게 리모델링 해야 한다. 주차에서부터 응급의료 응대까지 서비스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대구는 메디시티를 추구하고 있다. 100년이 넘는 근대 의료 역사가 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도 유치했다. 못할 것도 없다. 지방이 무너지면 대한민국이 무너진다. 의료도 마찬가지다. 그런 각오가 필요하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